경기도 수원특례시가 모두가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주거복지정책을 추진한다.
수원시는 ‘함께 어울려 살아가는 집’을 비전으로 하는 ‘2023년 주거복지 시행계획’을 수립했다고 3일 밝혔다.
‘포용적인 수원형 주거정책’ ‘안정적인 주거복지 기반’ ‘지속가능한 주거공동체’를 방향으로 설정한 올해 주거복지 시행계획은 5개 전략과 19개 추진과제, 35개 단위 사업으로 구성됐다.
5개 전략은 주거취약계층 지원 강화(Supporting), 공공주택 공급 확대(Housing), 주거복지 추진기반 구축(Organizing), 노후주택 주거환경 개선(Modifying), 모두를 위한 주거공동체 조성(Enhancing) 등이다.
대표적인 추진과제로는 수원형 주거기준 설정, 쪽방·고시원 주거환경 개선 지원, 수원휴먼주택의 안정적 공급 관리, 주거실태조사·주거취약계층 모니터링 강화, 수원형 집수리 지원사업 확대, 친환경 그린리모델링 활성화, 지속가능한 수원형 안전마을 구축 등이다.
수원시는 지난해 5개 추진전략, 19개 추진과제, 31개 단위 사업으로 이뤄진 주거복지 시행계획을 수립해 추진했고, 성과지표 달성률은 126.4%에 달성한 바 있다. 달성률이 100% 이상인 사업이 25개에 이른다.
이재준 시장은 “주거 여건이 취약한 시민들이 안정된 주거환경에서 지속가능한 주거 공동체를 만들 수 있도록 맞춤형 주거복지정책을 추진해 나가겠다”며 “주거복지 시행계획을 차질 없이 추진해 모든 시민이 안정적으로 주거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