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전 대통령이 3일 제주4·3평화공원을 찾아 참배한 뒤 “4·3의 완전한 치유야말로 진정한 화해와 통합에 이르는 길”이라고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은 4·3 추념일에 4·3평화공원을 참배한 첫 전직 대통령으로 기록됐다.
검은 양복 및 넥타이 차림의 문 전 대통령은 공원 위령 제단에 헌화·분향한 뒤 “4·3 영령들에 대해 다시 한번 그 넋을 가슴 깊이 추도한다”고 했다.
문 전 대통령은 “4·3 특별법 개정으로 특별재심과 배·보상이 이뤄지는 가운데 처음으로 맞이하는 추념식이다. 지난 3년간 코로나19로 행사에 제약이 있었는데 오늘 그런 제약을 벗어나 많은 도민이 참여하는 추념식이 된 것을 매우 뜻깊게 생각한다”고 평가했다.
이어 “재임 중에 적어도 2년에 한 번씩은 4·3 추념식에 참석하겠다고 약속드린 바 있다”고 했다.
그러면서 “지난해에는 당시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추념식에 참석해 참석하지 못했다. 오늘 뜻깊은 추념식에 참석하게 돼 매우 보람있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문 전 대통령은 4·3 진상규명의 내용을 왜곡하는 보수단체에 대해서는 “정부 차원에서는 4·3 해결을 위해 많은 노력을 하고 있는데 그런 가운데도 여전히 4·3을 모독하는 일이 있어 매우 개탄스럽고 마음 아프게 생각한다”고 지적했다.
문 전 대통령은 또 “앞으로 4·3의 완전한 치유에 이르기까지 마음으로 함께하겠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했다.
문 전 대통령은 ‘윤 대통령의 추념식 불참’과 관련된 기자들의 질문에는 “달리 말하지 않겠다”며 말을 아꼈다.
이날 문 전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 주변에는 많은 지지자들이 몰려 악수를 청했다.
한편 윤 대통령은 ‘해외 순방 준비’ ‘일정상 이유’를 들어 추념식에 불참했다.
대신 한덕수 국무총리가 추념식에 참석해 윤 대통령의 추념사를 읽었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