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매제한 규제가 풀리는 이달 전국 아파트 분양 공급이 전년 대비 90% 가까이 증가할 것으로 파악됐다. 이달부터 6월까지 2분기 분양 예정인 1000가구 이상 대단지만 3만 가구에 육박한다.
3일 직방 집계를 보면 이달 전국에 새롭게 풀리는 아파트는 29개 단지 2만7399가구로 지난해 같은 달 1만4616가구 대비 87.5%(1만2783가구) 늘어날 예정이다. 이 중 일반분양 물량은 10가구 중 7가구꼴인 1만9495가구로 1년 전 1만2425가구보다 56.9%(7070가구) 많을 것으로 집계됐다.
이달 전국 공급분 중 74.1%인 2만304가구가 수도권에 몰려 있다. 광역시·도별로 경기에서 가장 많은 12개 단지 1만2455가구가 나온다. 서울은 4개 단지 5854가구가 분양을 준비 중이다. 인천에 예정된 공급은 2개 단지 1995가구다. 지방은 충북(2076가구) 충남(1145가구) 부산(1120가구)을 중심으로 새 아파트가 공급된다.
이달 시행 예정인 전매제한 완화 조치는 청약시장 온도를 한층 높일 것으로 보인다. 현재 최대 10년이었던 수도권 지역 전매제한 기간이 공공택지 및 규제지역은 3년, 과밀억제권역은 1년, 그 외 지역은 6개월로 짧아진다. 비수도권은 공공택지 및 규제지역이 1년, 광역시(도시지역)는 6개월로 단축되고 나머지 지역은 전면 폐지된다. 이 조치는 앞서 분양한 아파트도 소급 적용된다.
임일해 직방 매너저는 “다만 분양권 양도세율이 높아 분양권 거래 시장 회복에는 한계가 있을 것으로 보인다”며 “정부가 올해 초 보유기간 1~2년인 분양권 양도세율을 현행 60%에서 기본세율인 6~45%로 낮추겠다고 밝혔지만 법 개정 사항이라 국회를 통과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부동산인포 조사에서는 올해 2분기 공급 예정인 1000가구 이상 대단지 아파트가 전국 30곳 5만6002가구로 집계됐다. 이 중 일반분양은 수도권 1만3450가구를 포함해 2만8286가구다.
대단지 아파트는 다양한 조경 및 커뮤니티 시설을 갖추면서도 가구당 관리비 부담이 적어지는 장점이 있다. 경비원 등 인건비를 비롯해 엘리베이터·주차장 같은 공용시설 유지·보수비를 모든 가구가 나눠 내기 때문이다. 유입·유동 인구도 많아 단지 주변으로 생활 인프라가 빠르게 개선된다.
한국부동산원이 운영하는 공동주택관리정보시스템을 보면 가구수별 ㎡당 월 공용관리비는 150~299가구 1366원, 300~499가구 1228원, 500~999가구 1160원, 1000가구 이상 1136원으로 나타났다. 전용면적 84㎡의 경우 300가구 미만은 한 달에 11만4744원을 내지만 1000가구 이상은 9만5424원으로 2만원 가까이 적게 낸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대단지는 상품성이 뛰어나 입주자 만족도가 높고 지역 랜드마크 아파트로 자리 잡는 경우가 많다”며 “공급 물량도 한정적이라 실수요나 갈아타기 수요는 대단지 신규 분양 단지를 눈여겨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