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영호, ‘4·3은 김일성 지시’ 논란에 “어떤 점을 사과해야 하나”

입력 2023-04-03 11:26
태영호 국민의힘 최고위원이 3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태영호 국민의힘 최고위원은 제주 4·3사건 75주년인 3일 ‘4·3은 북한 김일성 지시로 촉발된 사건’이라는 자신의 발언에 대해 “어떤 점을 사과해야 하는지 아직까지 납득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태 최고위원은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4·3사건은 남로당의 무장 폭동을 진압하는 과정에서 남로당과 아무 관계 없던 수많은 무고한 민간인 희생자를 낸 현대사의 비극”이라며 “지금은 남북 분단과 좌우 이념 무력충돌 과정에서 억울한 희생을 당한 분들의 넋을 기리고 명예를 회복시키며 희생자분들과 유가족의 아픔을 치유할 때”라고 밝혔다. 이어 “저도 여기에 힘을 아끼지 않겠다”고 덧붙였다.

태 최고위원은 지난 2월 최고위원 후보로 제주를 방문했을 때 “4·3사건은 명백히 북한 김일성의 지시에 의해 촉발됐다”는 발언으로 논란이 됐다.

이날 최고위원회의 후 기자들이 2월 발언에 대한 사과 의향이 있는지를 묻자 태 최고위원은 “어떤 점에서 사과를 해야 되는지 아직까지 납득이 되지 않는다”며 사과를 거부했다. 그러면서 “지난번에 (제주에) 가서 한 발언도 제주도민들에게 용서를 빌었던 것이지, 특정인을 조롱하거나 폄훼한 일은 한 번도 없다”며 “그분들의 아픔을 치유해주고자 한 발언이었다”고 강조했다.

태 최고위원은 “4·3사건이라는 용어부터 저는 동의할 수 없다”면서 “이 사건은 1947년 3월 1일부터 1954년까지 대단히 방대한 범위를 포괄한다. ‘제주도 무고한 양민 희생 사건’으로 범위를 넓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유족이나 피해자 단체가 내 발언의 취지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있는지 궁금하다”며 “앞으로 그분들과 이야기해서 발언의 취지와 전후 맥락을 구체적으로 설명해드릴 것”이라고 말했다.

태 최고위원은 기자들이 재차 사과 의향을 묻자 “사과해야 한다면 무엇을 사과해야 하는지가 먼저 규명돼야 한다”며 “이게 제 소신”이라고 강조했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제주 4·3 추념식에 참석하지 않았고 박대출 정책위의장과 이철규 사무총장, 김병민 최고위원 등이 대신 참석했다.

김 대표는 최고위원회의에서 “우리 당은 제주도가 겪은 슬픔을 기억하고 자유민주주의를 기반으로 하는 국민 통합의 미래를 열어나가겠다”고 밝혔다.

구자창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