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KT에 대한 인사 간섭은 관치경제를 넘어 ‘권치경제’의 민낯을 보여주고 있다”고 윤석열 정부에 대해 직격탄을 날렸다.
김 지사는 지난 31일 자신의 페이스북 ‘국민기업 KT는 권력의 전리품이 아닙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공공기관이 아닌, 이미 민영화된 기업의 인사에 정부·여당이 개입하는 것은 ‘민간 주도경제’가 아니라 ‘민간 압박경제’”라고 꼬집으며 이같이 밝혔다.
이날 KT 사외이사 재선임에 도전한 강충구 고려대 교수(KT 이사회 의장), 여은정 중앙대 교수, 표현명 전 롯데렌탈 대표가 KT 정기 주주총회 직전 후보에서 사퇴했다. 이미 연임에 나섰던 구현모 대표이사의 사퇴에 이어 대표이사 후보로 최종 추천된 윤경림 KT 그룹트랜스포메이션 부문장(사장)까지 중도 하차한 뒤였다. 대표이사 후보는 물론 이사진 6명 중 5명이 잇달아 사퇴하면서 KT 이사회에는 형식상 단 한 명의 이사만 남게 됐다.
김 지사는 “과거 중앙정부에서 공공기관을 총괄하는 역할을 했던 저의 경험에 비추어 볼 때 참으로 개탄스러운 일”이라며 “윤석열 정부가 말하는 자유와 공정의 실체는 무엇이냐. KT의 경영진은 (윤석열 대통령의) 측근이나 (대통령 선거) 공신을 챙기기 위한 자리가 아니다”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김 지사는 이어 “KT는 제4차 산업혁명 시대에 ICT 산업 분야를 선도할 대한민국 중추 기업”이라며 “‘정부리스크’로 발목이 잡히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에게 돌아갈 것이고 우리 경제에도 악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우려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잘못된 정책 시그널, 예측 불가능하고 일관되지 않은 메시지는 시장을 크게 혼란 시킨다”면서 “정부·여당은 이제라도 KT 인사와 경영에서 손을 떼기를 바란다”라고 말했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