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남지역 1300만명이 낙동강 물을 마시고 있지만 녹조와 각종 오염 등 수질에 대한 불안으로 시민들의 수돗물 사용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31일 낙동강 유역 환경단체 등에 따르면 낙동강 중상류 대규모 산단의 유해 물질 노출과 녹조 독소인 마이크로시스틴 등 각종 오염물질검출 등 최근 10년간 수질사고 발생이 251건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 환경단체는 낙동강 상류의 공단들로 인한 유해 화학물질로 원수가 깨끗하지 않은 상황에서 몸에 해로운 균이 있는 물을 걸러서 먹어야 하는 주민들이 낙동강에 대한 신뢰도가 낮아질 수밖에 없어 상수원 수질관리가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물의날을 맞아 최근 부경지역 한 연구원이 영남권 주민 2500여명을 상대로 실시한 설문 조사결과 53%가 안전성을 먹는 물의 1순위로 꼽았으며 수돗물 대신 정수기를 이용하는 경우가 부산 48%, 경남은 50%에 육박했고 생수 이용이 그 뒤를 이었다.
연구원 관계자는 “시민들은 먹는 물 이용에 있어 안전성이 가장 중요한 요인이라고 보고 있다”며 “오존 설비가 20~30년 쓰다 보니 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어 서울이나 대구처럼 새로운 공법을 도입해야 한다”고 밝혔다.
정치권도 시민들의 좋은 물 누릴 권리 찾기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모 정당 관계자는 “미세플라스틱에 총트리힐로메탄이라는 발암물질까지 나오는 수돗물을 누가 믿고 마실 수 있나 4대강 보를 해체해 유속과 깊이를 조절하는 방식의 개선이 필요 하다”고 말했다.
지역 환경단체 등은 식수와 농업용수로도 불합격 수준인 낙동강 수질과 먹는 물의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수돗물 마지막 처리 단계인 고도 산화 처리시설의 기능을 강화하는 등 정부가 적극적인 움직임을 보여야 한다는 주장이다.
한편 경남도는 최근 도내 수질오염사고 담당공무원을 대상으로 김해 대동면의 낙동강하류 방제비축센터에서 ‘수질오염사고 대응 담당공무원 역량강화 교육’을 하는 등 수질오염 피해 최소화에 나섰다.
도는 인사이동 등으로 바뀌는 수질오염사고 담당 공무원의 역량을 높이고 사고 유형별 적절한 초동 조치로 공공수역 수질오염을 예방하고자 이론과 방제물품(오일펜스, 오일붐 등)사용방법, 수질오염사고 대응요령 및 유형·원인별 대응 교육을 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