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는 모두에 열린 행사로”…3일 제주4·3희생자 추념식

입력 2023-03-30 21:51
제주시 봉개동 제주4·3평화공원 내 행방불명인 표지석에 희생자 유족들이 찾아와 슬픔을 함께 나누고 있다. 뉴시스

제75주년 4·3희생자 추념식이 내달 3일 오전 10시 제주4·3평화공원에서 거행된다.

75주년을 맞는 올해는 4·3특별법 개정으로 4·3희생자와 유족의 명예회복과 실질적 피해보상이 진행되는 가운데 추념식이 봉행돼 어느 해보다 의미가 깊다.

코로나19 사회적 거리두기가 해제됨에 따라 누구나 추념식에 참석할 수 있다.

올해 추념식에는 정부 대표로 한덕수 국무총리가 참석한다. 한창섭 행정안전부장관 직무대행과 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 송두환 국가인권위원장 등도 함께 한다.

추념식 사회는 오상진 아나운서가 맡았다.

애국가 제창은 2014 소치 동계올림픽 폐막식 등 여러 무대에서 활약한 테너 최승원과 한국음악협회 제주지회장 오능희 소프라노가 선창한다.

제주4·3 경과보고에서는 ‘순이삼촌’의 저자인 현기영 작가가 그동안 제주4·3이 걸어온 길을 영상으로 설명하고, 박주영 제주대학교 총학생회장과 박혜준 표선고 1학년 학생이 미래 세대의 의지를 담아 메시지를 전한다.

추모 공연은 뮤지컬 배우 카이가 ‘나 가거든(명성왕후 OST)’을, 뮤지컬 배우 김소현과 도평초 이예은 어린이가 4·3진혼곡으로 추념식 분위기를 더한다.

유족 사연에는 부모, 할머니, 두 형과 누나를 잃고 다른 이름, 다른 나이로 살아온 어르신의 이야기가 영상으로 소개된다.

올해는 추념식 봉행 최초로 국가 차원의 문화제도 진행된다.

가수 송가인이 ‘월하가약’과 ‘엄마 아리랑’, 가수 이정이 ‘광야에서’와 ‘걷고 싶다’를 노래하고, 도립무용단이 4·3기록물 세계기록유산 등재 기원의 염원을 몸짓으로 표현한다.

추념식 당일 오전 10시 정각에는 도 전역에 1분간 묵념 사이렌이 울린다. 모두 각자의 자리에서 경건한 마음으로 4·3영령을 추모할 수 있다.

조상범 제주도 특별자치행정국장은 “코로나19 거리두기가 해제된 가운데 추념식이 봉행돼 어느 때보다 많은 분들이 추념식장을 찾을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