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연수구는 30일 입장문을 통해 “최근 인천시가 현대화라는 명분으로 진행 중인 송도자원환경센터(송도소각장) 증설을 기정사실화하는 듯한 언론 대응에 대해 깊은 유감과 함께 분명한 반대 입장”이라고 밝혔다.
구는 또 “시와 증설을 담보로 어떠한 인센티브 관련 논의도 없었으며 화물주차장 등 지역 현안들도 결코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음을 다시 한 번 확인해 드린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 2006년부터 이미 송도국제도시에 지역 내 하루 발생량의 3배가 넘는 530t의 송도소각시설을 운영 중에 있어 더 이상 주민들의 희생을 강요해서는 안되는 상황”이라며 “이는 시가 일관되게 주장해 온 발생지 처리 원칙에도 배치되고 이미 구는 나머지 처리량으로 미추홀구, 남동구 등에서 발생한 쓰레기를 들여와 태우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구는 부득이 소각장을 신·증설해야 한다면 생활권에 기초해 설립해야 하고 소각 시설이 특정 지역에 편중되는 일이 있어서는 안된다는 입장”이라며 “송도소각장은 매년 점검을 통해 최상의 설비상태를 유지하면서 내구연한이 넘어서 굳이 필요하다면 증설 없이 최신 소각시스템으로 구축하는 것이 마땅하다”고 주장했다.
아울러 구는 “송도소각장은 각종 국제기구가 들어선 송도국제도시의 미래 비전에도 맞지 않고 재활용률을 높이고 소각량을 최저치로 낮춘다는 정부의 기본정책과도 배치되는 사안”이라며 “구는 주민 반대로 백지화된 수소발전소 건립에서부터 송도9공구 화물주차장 문제 등 해결해야 할 환경·안전 현안이 어느 지역 보다 산적한 곳”이라고 덧붙였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