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북한 무인기의 영공 침범 당시 출격했다가 혼자 추락한 공군 KA-1 공중통제공격기 사고가 정비사와 조종사의 공동 책임으로 판명됐다.
군의 부실한 실전 대비태세가 적나라하게 드러난 사례로 기록될 전망이다.
공군은 약 3개월에 걸친 사고 조사 결과를 30일 발표했다.
공군은 “엔진 연료조절장치에 대한 창정비 작업절차 미준수로 인한 엔진 이상 현상, 조종사의 상황판단 및 처치 조작 미흡이라는 복합적 원인으로 사고가 발생했다”고 분석했다.
사고기는 지난해 12월 26일 오전 11시38분 강원도 원주기지에서 이륙했다.
그러나 이륙 직후인 11시39분 22초 엔진 출력 이상 현상이 감지됐고, 조종사는 비상착륙을 위해 기지로 회항을 시도했다.
하지만 이내 안전한 착륙이 불가능하다고 판단하고 민가가 없는 쪽으로 기수를 돌렸다.
조종사는 이어 11시39분 39초 고도 410피트(약 125m), 강하각 27도 상태에서 낙하산을 타고 비상탈출을 했다.
1초 뒤 사고기는 지면과 충돌해 불기둥에 휩싸였고, 순식간에 잿더미가 됐다.
민가와 불과 300m 거리, 인근 성남초등학교와는 직선으로 50m 거리였다.
사고의 도화선이 된 엔진 출력 이상 현상은 연료를 공급하는 연료조절장치의 오작동에서 비롯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 장치를 담당하는 정비사가 2021년 5월 정비 당시 연료 공급량을 조절하는 부품인 테플론 튜브를 올바로 장착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는 항공기의 출력을 보여주는 토크 계기판에서 엔진 출력이 과다 표시되는 결과로 이어졌다.
이 때문에 조종사는 계속 엔진 출력을 떨어뜨리려 했고, 실제 출력이 계기판 수치보다 과도하게 떨어지는 상황까지 내몰리게 됐다.
그렇다고 해도 조종사 역시 공군의 문책을 피하지 못했다.
일부 부품이 오작동했다고 하더라도, 핵심인 엔진이 비정상적으로나마 작동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엔진 이상을 가리키는 경고등도 들어오지 않았고, 사고기 추락 뒤에도 프로펠러가 엔진의 힘을 받아 한동안 돌았다.
그런데도 조종사는 엔진이 정지했다고 판단하는 오류를 범했다고 공군은 지적했다.
또 황급한 마음을 다스리지 못하고 미리 정해진 비상착륙 궤적보다 훨씬 급격하게 선회하면서 항공기가 속도를 잃는 상황을 자초했다는 것이다.
조종사가 조치만 제대로 했더라면 비상착륙이 가능했다는 것이 공군의 판단이다.
공군은 조종사, 정비사와 지휘 책임자 일부를 문책위원회에 회부할 예정이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