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들 “대전, 반도체 인프라 최고…특화단지 조성해야”

입력 2023-03-30 15:00
30일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개최된 대전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 토론회에서 참석자들이 피켓을 들고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대전시 제공

반도체 관련 연구인력·인프라가 풍부한 대전에 반도체 국가첨단전략산업 특화단지를 조성해야 한다는 전문가들의 주장이 나왔다.

대전시는 30일 국회의원회관 소회의실에서 ‘반도체 기술패권 경쟁시대, 대전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토론회를 개최했다. 박영순·윤창현 국회의원이 공동주최하고 시와 한국과학기술원(KAIST)이 공동 주관했으며 150여명이 참석했다.

주제발표자로 나선 장호종 KAIST 교수는 “대전은 세계 최고의 연구역량, 인프라를 갖춘 고급 반도체 설계인력 양성에 최적화된 도시”라며 “국내를 넘어 세계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연구·산업 기능을 집적한 특화 클러스터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유현규 충남대 교수가 좌장을 맡고 유회준 KAIST 교수, 유병두 한국반도체산업협회 실장, 김서균 한국팹리스산업협회 사무총장, 양준모 나노종합기술원 책임연구원, 한선희 대전시 전략사업추진실장이 패널로 참여하는 토론이 진행됐다.

유병두 실장은 “대전은 풍부한 인적 인프라와 연구인프라가 갖춰진 지역”이라며 “반도체 특화단지가 조성될 경우 국내 산·학·연의 새로운 협력 모델로서 반도체산업의 새로운 성장동력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서균 사무총장은 “반도체 설계(팹리스) 산업 관련 인력 양성과 전략적인 지원을 통해 한국형 반도체종합연구원(IMEC) 구현이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으며, 양준모 책임연구원은 “대전 나노반도체 산단에 산·학·연이 공동 참여하는 소·부·장 테스트베드의 실증 기능을 추가하면 국내 반도체산업의 경쟁력이 전반적으로 강화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특화단지는 평가 및 국가첨단전략산업 위원회 심의·의결을 거쳐 올 상반기 결정될 예정이다.

한선희 시 전략사업추진실장은 “시는 지난달 반도체 특화단지 지정 신청서를 제출했다”며 “지역 정치권과 반도체 전문가들의 적극적인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