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이른바 ‘50억 클럽’에 연루된 의혹을 받는 박영수 전 특별검사에 대한 강제수사에 착수했다.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재판에 넘긴 검찰이 50억 클럽 의혹을 정조준하고 수사에 속도를 내는 모습이다.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부장검사 엄희준)는 30일 박 전 특검과 양재식 변호사의 주거지와 사무실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보내 은행 거래 내역 등을 확보하고 있다.
박 전 특검은 우리은행 이사회 의장으로 재직하던 2014년 대장동 민간사업자 구성 논의 과정에 관여하고 컨소시엄에서 부국증권을 배제하는데 영향력을 행사한 의혹을 받고 있다.
박 전 특검은 이 같은 활동 대가로 50억원을 받기로 한 것 아니냐는 의혹을 받는다. 검찰은 박 전 특검과 양 변호사가 피의자로 적시된 압수수색 영장에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수재 등 혐의를 적시했다.
양 변호사는 박 전 특검이 대표변호사로 있던 법무법인 강남에서 일했고 2016년 ‘국정농단 특검’ 당시 특검보로 박 전 특검을 보좌했다.
박 전 특검과 양 변호사는 대장동 민간개발업체에 부산저축은행 대출을 알선한 브로커로 지목된 조우형씨가 2011년 대검 중수부 조사를 받을 때 변호를 맡았었다. 이들은 2015년 수원지검의 대장동 사업 정관계 로비 의혹 수사 당시 남욱 변호사를 변호한 바 있다.
50억 클럽은 화천대유자산관리 대주주 김만배씨 등이 대장동 수익을 나눠주기로 약속했다는 인물들을 말한다.
박 전 특검은 2015년 7월~2016년 11월 화천대유 고문으로 있으면서 2억5000만원을 받았다. 그의 딸은 3년가량 화천대유에서 근무했고, 대장동 아파트를 분양받아 8억원 가량 시세 차익을 얻었다는 의혹을 받는다.
검찰은 김씨가 은닉한 범죄 수익이 ‘50억 클럽’ 로비 명목으로 흘러 들어갔을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자금 추적을 진행해왔다.
앞서 검찰 관계자는 “반부패수사1부는 50억 클럽과 백현동 개발 비리 의혹 수사에, 반부패수사3부는 곽 전 의원 항소심 공소유지와 관련 사건 수사에 집중할 것”이라고 말했었다.
나성원 기자 naa@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