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 봄철 영농기 필요인력 46만명 수급 총력…전방위 대응

입력 2023-03-30 09:17
봄철 농작업(배 꽃가루 수정) 전남도 제공

전남도가 봄철 영농기 필요 인력 46만여 명의 원활한 수급을 위해 ‘농촌인력수급 지원계획’을 세워 종합상황실을 운영하고 도내 37개 농촌인력중개센터 영농작업반을 모두 가동하는 등 전방위 대응에 나선다.

중점 대상 농작업은 양파·마늘 수확, 고추·고구마 모종 옮겨심기(정식), 배 솎아내기(적과)와 봉지 씌우기 등이다. 이들 작물의 전남 재배 면적은 총 1만7041ha로 농작업에 필요한 인력은 약 46만6000명으로 추산된다.

전남도는 현재 ‘봄철 농번기 인력지원 종합상황실’을 설치해 도-시군-농협 간 유기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상황실은 농작업 진행과 인력수급 현황, 인건비 상승 동향을 점검하고 시군 인력 운영을 조정한다.

또 농촌인력중개센터를 34곳에서 37곳으로 확대하고 기능도 강화할 방침이다. 주요 농작업반을 3500명으로 확대해 인력중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청년·은퇴자 등 도시지역 유휴 인력을 확보해 농촌일자리를 알선하고, 인접 시군 간 농작업반을 상호교류 투입해 중개 범위도 확대한다. 농촌인력중개센터에서 이뤄지는 무료 중개, 작업반 수송, 간식비·상해보험료 지원 등 사업으로 인건비 상승이 억제될 것으로 보인다.

올해부터 일손이 필요한 농가와 구직자를 연결하는 ‘도농인력중개플랫폼’을 통해 맞춤형 일자리 정보도 제공한다. 농업 분야 구직자는 컴퓨터나 휴대전화로 ‘도농인력중개플랫폼’을 검색해 일자리를 신청할 수 있고, 실시간 문자 정보도 받을 수 있다. 농업인은 ‘도농인력중개플랫폼’에서 근로 지역, 농작업 종류, 임금 수준, 근로 조건 등 정보를 등록하거나, 농촌인력중개센터에 신청하면 필요 인력을 구할 수 있다.

전남도는 지난해 말 19개 시군 총 640농가에 지난해 706명보다 3.1배 많은 2274명의 계절근로자를 배정받았다. 해남 102명, 담양 49명, 나주 46명 입국을 시작으로 농업 분야에 근로할 1000여명이 입국 준비 중이다.

전남도는 대학&농촌 봉사활동 일촌 맺기를 운영하는 등 농번기 공공일자리 사업 확대, 공무원·공공기관 일손 돕기, 대학생·군부대 자원봉사활동 참여 극대화에도 집중할 계획이다.

강효석 전남도 농축산식품국장은 30일 “매년 농촌인구 감소와 고령화로 인력 수급이 어려운데다 인건비는 상승해 농업인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며 “농촌인력중개센터를 활용, 농작업반과 도시 유휴인력을 지속 확보해 인력 수급이 적기에 이뤄지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무안=김영균 기자 ykk22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