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 공항 이전과 편입…광주·함평 우호적 동행 성사될까

입력 2023-03-29 15:27

‘광주는 군 공항 옮기고, 함평은 광역단체로 날개달고…’

광주와 전남 함평의 ‘아름다운 동행’이 결실을 보게 될지 벌써 관심이 쏠린다. 두 지자체가 의기투합해 해묵은 숙원인 군 공항 이전과 행정구역 통합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해법을 신중히 모색 중이다.

광주시와 국방부는 29일 오후 함평 국민체육센터에서 ‘광주 군 공항 이전 설명회’를 개최했다. 함평지역 사회단체의 자발적 요청에 따라 광주시와 국방부가 함평에서 설명회를 연 것은 3월 들어서만 벌써 3번째다.

설명회에 참여한 함평군번영회와 군공항유치위원회는 이날 “광주광역시 편입을 전제조건으로 ‘뜨거운 감자’나 다름없는 군공항 이전을 과감히 수용하자”는 의견을 완곡하게 제시했다.

이들은 대구 군공항 이전지 결정 이후 7월1일 대구시 편입을 앞둔 경북 군위군 사례를 들었다.

이날 출범식을 가진 함평 군 공항 유치위 오민수 위원장은 “인구감소와 지역소멸 위기에 처한 함평은 군 공항 이전으로 5000억원 가까운 직접적 혜택과 더불어 지역개발, 투자 활성화를 꾀할 수 있다”며 광주 편입 당위성에 무게를 실었다.

그는 “최근 대구·경북 군공항 이전 대상지인 군위·의성을 방문했는데 대구시에 편입이 확정된 군위 지역은 땅값도 오르고 침체됐던 지역발전도 앞당겨질 조짐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함평이 인접한 광주에 편입되면 대구·경북 군공항 이전 대상지 군위군 사례처럼 빛그린산단 입주기업 등을 통해 지역발전의 호기를 맞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함평군은 이 같은 사회단체의 동의를 토대로 6월 중 군 공항 유치에 대한 주민 찬반 여론조사를 실시하기로 하는 등 그동안 금기어로 간주된 ‘군 공항 이전’ 문제에 관해 전향적 자세로 돌아선 분위기다.

국방부가 선정한 유력 후보지에 포함되지는 않았지만 주민의견을 수렴해 금명간 공식적 유치 의향서 제출 여부를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광주시 역시 10여년 동안 지지부진한 군 공항 이전과 동시에 미래차 국가산단 조성, 광주송정역 KTX 투자선도지구 개발에 필요한 광주송정금호타이어 이전 등 굵직굵직한 현안을 해결하고 바다를 품은 함평을 끌어안아 ‘해양 광역도시’로 한단계 발돋움할 수 있다는 구상이다.

대구시의 경우 군위 편입에 따라 7구·1군에서 7구·2군 체제로 바뀌면서 관할 면적이 884㎢에서 1498㎢로 70% 정도 늘면서 전국 특·광역시 가운데 가장 넓은 면적을 갖고 지역발전의 새로운 동력을 얻게 됐다.

함평군의 광주 편입이 성사되려면 주민 찬반투표는 물론 타당성 연구용역, 시·도의회 동의, 행정안전부 관할구역 변경 법률안 작성·입법예고·법제처 심의, 국회 본회의 통과, 법률안 공포 등 실타래처럼 얽힌 과제들이 산적해 있다.

향후 국·공유재산 인수, 세입·세출 예산 조정, 전산 시스템 통합 정비, 국회의원 선거구 조정, 유·초·중·고교 편입 등도 거쳐야 한다.

실제 대구·경북 통합 신공항 이전 부지 선정에 따라 2020년 7월부터 추진된 군위군 대구시 편입은 꼬박 3년이 걸렸다. 지역정가에서는 광주시와 함평 행정구역 통합은 군 공항 이전 부지가 결정되더라도 적잖은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광주권역에서는 함평뿐 아니라 행정구역이 맞닿은 나주 장성 함평 담양 등이 모두 통합 논의대상으로 거론되고 있다. 광주시는 지금의 광산구로 명칭이 바뀐 송정시와 광산군을 흡수 통합한 바 있다.

광주시 관계자는 “군 공항 이전 후보지는 국방부가 최종 결정하지만 군 공항을 받아준다면 행정구역 통합에 반대할 이유가 없다”며 “군 공항과 더불어 민간공항 이전도 함께 추진해야 되는 만큼 함평군과 머리를 맞대로 장기적 관점에서 신중히 접근할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