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가 지역 내 상습 교통정체 구간 33곳을 선정하고 입체화·도로확장 등 개선사업을 추진한다고 29일 밝혔다.
정체구역 33곳 가운데 원도심 지역인 계룡로 등 16개 구간은 불법주정차 단속, 신호체계 개선, 좌회전 포켓 길이 조정 등 도로운영 방식을 바꾸기로 했다.
도로구조 개선이 필요한 17개 구간은 총 1조9300억여원의 사업비를 들여 교차로 입체화, 도로신설 및 확장 등을 추진한다.
교차로 입체화 대상 5개 구간 가운데 장대삼거리는 내년 착공해 2027년 완공하고 북대전IC네거리는 2028년 입체화가 완료될 예정이다.
한밭대로 월드컵지하차도~온천2동주민센터 내 병목구간은 도로를 확장하는 한편 장대네거리의 입체화를 통해 교통흐름을 개선한다.
상습정체 대부분이 구도심에서 발생하는 만큼 시는 도로 확장 및 외곽도로 신설을 통해 계백로·태평로 등 도심 교통수요를 분산시킨다는 방침이다.
계룡대교네거리 주변 지역인 원신흥동·봉명동 일대 교통정체는 다음달 준공되는 (가칭)도안대교 및 만년지하차도 연결도로로 해소하고, 정림중~사정교 도로는 7월 착공해 2026년 말까지 완성한다.
시는 이와 함께 개인형이동장치(PM) 주차금지 지역과 견인, 비용 징수 근거가 포함된 ‘대전시 개인형이동장치 안전 및 편의 증진 조례’도 개정하기로 했다.
개정안에 따라 앞으로는 PM 견인시 1대당 견인료 3만원과 별도의 보관료가 부과될 예정이다. 자치구별 사고위험이 높은 구간은 특별관리구간으로 지정하고 대전경찰청과 협조해 단속도 강화한다.
이장우 대전시장은 “맞춤형·단계별 개선을 통해 상습교통정체를 해소하고 올바른 PM 이용문화를 정착시키겠다”며 “시민 여러분의 적극적인 참여를 당부드린다”고 말했다.
대전=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