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윤석열 대통령이나 여당(국민의힘)은 헌법 가치 수호를 입버릇처럼 외치면서 헌법 수호의 마지막 보루인 헌법재판소 결정을 원색적으로 비난하는 것은 지극히 온당하지 않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김 지사는 지난 27일 경기도청에서 가진 기자 간담회에서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입법 효력을 인정한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해 반발하는 정부와 여권에 이같이 밝히며 일침을 가한 것이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윤석열 정부에 대한 비판은 어떠한 정치적 목적이 아니라 경기도지사로서 임무와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라며 “대통령 다음으로 가장 많은 표를 얻어 당선된 선출직이 나다. 이런 상황에서 경기도에 영향 미치는 정책과 국가 앞날에 대해 목소리를 내는 것은 지극히 당연하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경기 용인 반도체클러스터에 일본의 소부장(소재·부품·장비) 기업을 유치하겠다고 밝힌 윤 대통령 발언에 대해서도 반대 뜻을 분명히 했다.
그는 “일본의 소부장 산업을 유치하는 문제에 대해서 저는 대통령 발표와 결을 달리한다”며 “일본의 수출 규제로 우리 소부장 산업은 역설적으로 크게 발전했고, 이미 경기도에서 경쟁력 있는 소부장 기업들이 많이 육성됐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이어 “국내 소부장, 중견 및 중소기업을 우선해 반도체 집적체를 만들었으면 한다”고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지난 21일 국무회의 모두 발언에서 “한일 양국 기업 간 공급망 협력이 가시화되면 용인에 조성될 예정인 반도체클러스터에 일본의 기술력 있는 반도체 소부장업체를 대거 유치함으로써 세계 최고 반도체 첨단 혁신기지를 이룰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김 지사는 정부의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에 대해서 강도 높은 비판을 가했다.
그는 “이번에 정부가 발표한 탄소중립·녹색성장 기본계획은 현 대통령 임기 뒤로 모든 부담을 돌리는 폭탄돌리기가 됐다”며 “신재생에너지를 30%에서 20%로 낮추거나 감축 목표도 사안 따라 다른데 70~80%로 미뤘다”고 지적했다.
이어 “경기도는 공공 RE100 측면에서 광역자치도 할 수 있는 만큼 가장 적극적으로 하겠다”고 덧붙였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