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덕민 주일대사 “일본 우익도 한국과 협력 강조하려는 변화 있다”

입력 2023-03-27 16:04 수정 2023-03-27 16:05
재외 공관장 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귀국한 윤덕민 주 일본대사가 27일 오후 서울 종로구 외교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 참석해 한일 관계에 대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윤덕민 주일대사는 27일 “안보를 중시하는 일본 우익을 중심으로 한국과 협력을 강조하려는 변화가 일어나고 있다”며 “한·일 관계를 완전히 정상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가 내놓은 제3자 변제안에 관해선 “굉장한 고육지책(苦肉之策)”이라고 치켜세웠다.

윤 대사는 이날 오후 서울 외교부 청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윤석열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의 정상회담 후 일본의 분위기가 변화됐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일본 내 우익들의 태도 변화가 감지되고 있다”며 “일본 정부에서 변화를 감지하니 기시다 정권이 소신 있게 한·일 관계를 진행하는 환경이 조성되지 않았나 기대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시다 총리의 전체 담화를 계승한다는 표현은 지켜지지 않았던 한·일 관계가 지켜지는 관계로 복원됐다고 생각한다”고 부연했다.

윤 대사는 본인이 취임하던 지난해 7월 전까지 한·일 관계에 관해선 “어정쩡했다”고 표현했다.

당시 윤 대통령은 불안정한 한·일 관계를 해소하기 위해 윤 대사에게 “하루라도 빨리 가장 좋았던 시절로 복귀시키라”고 지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를 위해 윤 대사는 “제일 먼저 생각한 게 민간교류”라며 “조금씩 한·일 관계가 호전됐다”고 회상했다. 윤 대사 부임 후 한·일간 무비자 입국이 재개됐고, 일본을 찾는 한국 관광객이 크게 늘었다.

윤 대사는 일본 측에 제시한 제3자 변제안이 한·일 관계 변화에 큰 영향을 줬다고 평가했다.

윤 대사는 “1965년 청구권 협정과 2018년 대법원 확정의 상호 모순된 걸 정부가 존중하며 해결책을 찾아야 했다. 고육지책이었다”고 되짚었다.

제3자 변제안은 2018년 대법원 확정판결로 승소한 강제동원 피해자에게 지급할 배상금을 1965년 청구권 협정으로 수혜를 본 기업이 대신 내는 방식이다. 윤 대사의 평가와 달리 일본에선 하야시 요시마사 외무상 등이 강제동원 표현은 적절하지 않다며 제3자 변제안에 부정적인 의견을 내놨다.

이와 관련해 외교부 고위 당국자는 간담회 후 기자들과 만나 “조금 아쉽다고 생각한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정부가 노력하는 과정에 이런 발언하는 건 유감스럽다”고 일갈했다.

아울러 윤 대사는 향후 한·일 관계와 관련해 “갈등, 악화로 내버려 두는 건 절대 바람직하지 않다”며 “이제 시작했다 생각하고 한·일 관계를 완전히 정상화해야 한다”고 힘줘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을 계기로 한·일 관계가 복원되고 어떤 의미에선 한·일이 가치관까지 공유한다고 생각한다”며 “앞으로 할 일이 매우 많다”고 덧붙였다.

박준상 기자 junwith@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