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동훈 법무부 장관이 여권 내에서 제기되는 ‘내년 4월 총선 차출론’에 대해 “저와 무관한 일이고, 저는 법무부 장관으로 최선을 다하겠다는 말씀을 드린다”고 밝혔다.
한 장관은 27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 출석하며 기자들을 만나 “지금 보다시피 법무부 장관(의 자리)에서 할 일이 굉장히 많다”며 이같이 말했다.
한 장관은 지난해 ‘국민의힘 당대표 차출론’에도 휩싸인 적이 있다.
한 장관은 이에 대해 “제가 아직 많이 부족하다고 생각한다. 그렇기 때문에 법무부 장관으로서의 역할에 최선을 다할 거라고 분명히 단호하게 말씀드린다”며 일축했었다.
이번 총선 차출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장관으로서 역할’을 강조하며 차출론을 부인한 것이다.
당시 윤석열 대통령도 한 장관의 당대표 차출론과 관련해 아직 장관으로서 할 일이 많다며 부정적 반응을 보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 장관은 실제로도 당대표에 불출마했다.
한편 한 장관은 이날 더불어민주당을 향해서는 “저보고 사퇴하라, 사과하라, 여러 말씀하지 않나. 앞으로도 그렇게 위장탈당시켜서 계속 입법할 게 아니라면 사과는 제가 아니라 민주당 의원들이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며 대립각을 세웠다.
한 장관은 민형배 무소속 의원의 민주당 복당 전망에 대한 질문을 받고선 “제가 지금 굉장히 유감스럽게 생각하는 그 헌법재판소의 결론조차 위장탈당 등 심각한 위헌·위법적 절차가 입법 과정에 있었다는 점을 인정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앞서 헌재는 지난 23일 ‘검수완박’(검찰 수사권 완전 박탈) 권한쟁의심판을 선고하면서 입법 과정에서 민 의원의 ‘위장 탈당’을 지적했다.
국회 법제사법위원장이 당시 이를 알고도 묵인하는 등 국회법과 헌법을 위반했으며 이런 불법행위 탓에 소수당인 국민의힘 의원들의 심의·표결권이 침해됐다는 것이다.
한 장관은 이어 “(민주당의) 내부 상황에 대해서는 국민이 판단하지 않겠나”라면서도 “그게 상식적인가. 헌법재판소가 그래도 된다고 허용한 것으로 생각하나. 국민께서 그렇게 생각한다고 생각하나”라고 따져 물었다.
그러면서 “저는 그렇게 보지 않는다”며 “다만 당내 사정이니까 법무부 장관이 언급할 문제는 아닌 것 같다”고 덧붙였다.
오주환 기자 joh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