잭 도시의 블록, 힌덴버그 공매도 표적 됐다 [3분 미국주식]

입력 2023-03-24 07:30 수정 2023-03-24 07:30
미국 플랫폼 기업 블록의 잭 도시 최고경영자가 2019년 6월 7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 엘리제궁에서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을 만난 뒤 옅은 미소를 지으며 떠나고 있다. 당시 블록은 자사 모바일 결제 애플리케이션과 같은 스퀘어를 회사 명칭으로 사용했다. AP뉴시스

월스트리트의 ‘공매도 저승사자’ 힌덴버그 리서치가 모바일 결제 애플리케이션(앱) 스퀘어를 운영하는 미국 플랫폼 기업 블록을 표적으로 지목했다. 힌덴버그는 인도 대기업 아다니그룹에 공매도를 걸고 회계 부정을 공개해 수익을 낸 행동주의 펀드다. 블록은 24일(한국시간) 마감된 나스닥거래소에서 15% 가까이 하락했다.

1. 블록 [SQ]

힌덴버그는 이날 뉴욕증시 개장을 앞두고 블록을 2년간 추적해 작성한 보고서를 공개했다. 힌덴버그는 “블록이 느슨한 통제 속에서 모바일 결제 앱의 이용자 수를 부풀렸다. 허위로 개설됐거나 불법에 연루된 계좌들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로 인해 블록은 나스닥거래소의 프리마켓에서 20%가량 폭락한 뒤 본장에서 낙폭을 14.82%로 줄였다. 마감 종가는 61.88달러다.

힌덴버그는 부정‧부실한 경영 실태를 숨긴 기업을 수개월, 많게는 수년간 추적해 보고서를 작성한다. 완성된 보고서는 공매도를 건 뒤에 공개된다. 행동주의 펀드는 일반적으로 특정 기업의 경영 방식을 개선하고 이익을 분할하지만, 힌덴버그는 공매도 투자로 수익을 낸다.

월스트리트에서 힌덴버그에 대한 평가는 엇갈린다. 힌덴버그는 기업의 숨겨진 부정행위를 밝혀내는 ‘고발자’ 역할을 하지만, 결국 ‘숏 포지션’을 통한 수익을 좇는 탓에 악명도 얻었다.

힌덴버그는 지난 1월 25일 “아다니그룹이 회계 부정을 일삼는다”는 보고서를 발표하고 공매도를 걸었다. 이로 인해 아다니그룹의 시가총액은 연초 대비 반토막이 났다. 미국 경제지 블룸버그의 억만장자 지수에서 한때 세계 2위였던 가우탐 아다니 아다니엔터프라이지스 회장의 자산 순위는 21위로 떨어졌다.

2020년 9월 미국 수소차 스타트업 니콜라의 부실한 회계 장부를 들춰낸 주인공도 힌덴버그다. 당시 30달러를 넘겼던 니콜라 주가는 현재 1달러대(마감 종가 1.41달러)로 쪼그라들었다.

이런 힌덴버그가 지난 23일 트위터에 “다른 대기업에 대한 새로운 보고서가 곧 나올 것”이라며 예고하자 월스트리트의 관심이 쏠렸다. 하루 만인 이날 공개된 표적은 뉴욕증시에서 시가총액 200위권 기업인 블록이었다. 블록은 SNS 플랫폼 트위터 창업자인 잭 도시가 설립한 스퀘어의 후신으로, 지금은 암호화폐 플랫폼을 개발하고 있다.

힌덴버그는 블록 보고서에 “자금세탁 방지 규정을 의도적으로 무시해 결제 앱 이용자 수가 많은 것처럼 부풀렸다. 블록의 전직 직원들은 결제 앱 계정의 40~75%가 가짜거나 불법에 연루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적었다.

힌덴버그는 이를 검증하기 위해 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의 이름으로 허위 정보를 입력하고 계좌를 개설해 실물 카드를 우편으로 발급받았다고 주장했다. 힌덴버그는 보고서에서 “블록이 정부와 소비자들을 속여 성장을 촉진했고, 주요 경영 지표에서 투자자들을 오도했다”고 비판했다.

2. 코인베이스 글로벌 [COIN]

미국 암호화폐 거래소 코인베이스 글로벌은 이날 나스닥거래소에서 66.3달러까지 14.05%(10.84달러) 하락했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증권법 위반 혐의를 적시한 ‘웰스노티스(Wells Notice)’를 코인베이스에 발송했다.

SEC는 기업·개인의 회계 조작이나 불법 금융 거래 혐의를 포착하면 웰스노티스를 통지한다. 웰스노티스를 받은 기업이나 개인은 통상 30일 안에 답변한다. 이후 법적인 제재나 소송이 시작될 수 있다. 웰스노티스는 항변권 부여할 목적으로 발송되지만, SEC의 제재 집행 절차상 의무는 아니다.

코인베이스는 블로그에 웰스노티스를 받은 사실을 공지하고 “서비스와 상품이 변경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코인베이스 CEO 브라이언 암스트롱은 트위터에 “SEC의 조치는 불공정하고 비합리적이다. 그 사실을 공개적으로 입증하겠다”고 반발했다.

코인베이스는 2021년 4월 미국 나스닥거래소에서 기업공개(IPO)를 통해 제도권 증권시장으로 처음 상장된 암호화폐 거래소다. 중국계 바이낸스에 이어 세계 2위, 미국 내 1위 암호화폐 거래소로 꼽힌다.

3. 어드벤트 테크놀로지스 홀딩스 [ADN]

미국 연료전지 기업 어드벤트 테크놀로지스 홀딩스는 이날 나스닥거래소의 프리마켓에서 30% 넘게 급등하더니 본장에서 상승분을 모두 반납하고 0.83%(0.01달러) 하락한 1.2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앞서 어드벤트는 지난 23일 현대차‧기아와 초고온형 수소 연료전지 기술을 공동개발하는 협약을 체결했다.

미국 매사추세츠주 보스턴에 본사를 둔 어드벤트는 고온형 연료전지의 핵심 부품인 막전극접합체(MEA)를 생산하고 있다. MEA는 수소 연료전지에서 산소‧수소의 결합을 통해 전기를 생성하는 부품이다. 현대차·기아와 어드벤트는 2024년 말까지 초고온 수소 연료전지용 MEA 기술을 확보할 계획이다.

하루 3분이면 충분한 월스트리트 산책. [3분 미국주식]은 서학 개미의 시선으로 뉴욕증시를 관찰합니다. 차트와 캔들이 알려주지 않는 상승과 하락의 원인을 추적하고, 하룻밤 사이에 주목을 받은 종목과 이슈를 소개합니다.


김철오 기자 kcopd@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