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이앤씨는 국내 건설사 최초로 해상 공사 현장에 수중 드론을 투입해 안전·품질 관리를 강화한다고 23일 밝혔다.
수중 드론은 초음파, GPS, 고성능 카메라 등 측정 장비를 탑재해 실시간으로 영상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시속 2노트(약 시속 3.7㎞)로 최대 4시간 잠행이 가능해 넓은 범위를 빠르고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해저 지반 상태, 해양식물 서식 현황, 시공 품질 확인에 수중 드론을 활용한다. 조류가 심하고 수심이 깊은 곳, 선박 운행 구간처럼 사고 위험 때문에 잠수사 투입이 어려운 환경에서도 운영이 가능한 만큼 안전사고 방지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포스코이앤씨는 최근 전남 여수 화태~백야 도로건설공사 1공구 등 4개 현장 해상 공사에 수중드론을 시범 적용해 성능을 입증했다. 추후 강한 조류와 깊은 수심에 투입 가능한 고성능 수중 드론도 도입해 모든 해상공사에 확대 적용한다는 방침이다.
수중 드론에 레이저로 지형을 측정하는 LiDAR(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를 탑재하면 교량 등 구조물이 설치되는 해저 지반 상태를 스캔해 설계에 적용할 수 있다. 포스코이앤씨는 해상풍력 사업이 본격화하면 해저 공사에 수중 드론 기술을 적극 활용할 계획이다.
포스코이앤씨는 이밖에도 드론을 띄워 스캔한 지형과 토공량(흙의 양) 등의 정보를 사업 부지에 대한 정밀 설계에 활용하고 있다. 건설기계 자동화 기술을 적용한 토목공사 장비를 도입해 작업 생산성도 높였다. 터널 공사에서 시공오류나 균열 등을 확인하는 데에는 자율보행 로봇을 투입하는 등 스마트 장비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포스코이앤씨 관계자는 “향후에도 안전과 품질이라는 건설 현장의 최고 가치를 실현하는 데 수중 드론과 같은 스마트 기술을 적극 도입할 계획”이라며 “스마트 건설 장비를 활용해 현장에서 근무하는 작업자들의 안전을 지킴으로써 보다 행복한 일터를 만들어 나가는 데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강창욱 기자 kcw@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