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올해 신천과 임진강 수계 인접 폐수 배출사업장을 대상으로 ‘경기북부 중소기업 수질개선 지원사업’을 추진한다고 23일 밝혔다.
경기북부 지역은 오염부하량이 높은 섬유·피혁·식품 등의 업종이 많이 분포해있고 대부분 영세해 환경시설 관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도는 2010년부터 북부 10개 시·군 및 경기환경에너지진흥원과 함께 중소기업에 환경오염방지시설 설치·개선, 환경오염방지 컨설팅 등을 지원하고 있다.
도는 올해 양주시, 포천시, 동두천시, 연천군 등 신천과 임진강 수계 4개 시·군에 지원을 집중한다. 수질오염방지시설 개선 비용 지원액도 업체당 최대 4000만원에서 7000만원으로 늘리고 실질적인 수질개선 효과를 내기 위해 섬유·피혁·식품 등 오염부하량이 높은 업종을 우선지원대상으로 선정해 추진할 방침이다.
특히 도는 기업 자부담 비율을 기존 30%에서 10%로 줄이기 위해 환경부에 국비 지원을 건의했다. 최근 경기침체로 시설개선 투자가 어려운 상황인 만큼 기업의 경제적 부담을 덜고 환경오염도 줄이는 효과를 내겠다는 의도다.
도는 지난해 9월 개최한 기업·전문가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을 적극적으로 수렴해 반영했다. 당시 기업대표들은 환경오염방지시설 지원비용을 상향해줄 것과 더불어 자부담 비율을 완화해달라고 건의했다. 또한 전문가들은 오염부하량이 높은 섬유·피혁·식품 등의 제조업에 집중적으로 지원을 펼쳐 실질적인 효과를 거두는 데 주력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상철 북부환경관리과장은 “경기북부는 영세사업장이 많이 분포해 노후 환경오염방지시설에 대한 교체와 개선이 시급한 지역”이라며 “실질적인 수질개선 효과를 내기 위해서는 폐수처리 공법을 변경할 수 있을 정도의 보조금 지원액을 대폭 늘려야 하는 만큼 내년도에는 국비 지원을 받아 한 곳당 2억원 정도를 지원할 수 있도록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경기도는 지난해 수질오염물질 다량 배출 20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시설개선을 지원함으로써 생화학적산소요구량(BOD), 총유기탄소(TOC) 등의 수질오염물질을 약 83.6% 감소시키는 성과를 내기도 했다.
의정부=박재구 기자 park9@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