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요금 인상으로 상수도 요금 물가가 17년 만에 최대 폭으로 상승했다. 생수 가격도 한 달 새 7% 넘게 상승해 11년여 만에 가장 크게 올랐다.
2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상수도료 물가 지수는 109.50(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4.6% 상승했다. 상수도 요금 상승 폭은 2006년 1월(6.1%) 이후 17년 1개월 만에 최대다.
코로나19 기간 동결됐던 생산단가가 오르면서, 지방자치단체들은 요금 현실화를 이유로 상수도료 인상 정책을 추진해왔다.
서울시는 지난 1월 가정용 상수도 사용요금을 1㎥당 480원에서 580원으로 20.8% 인상했다. 욕탕용은 440원에서 500원으로, 그 외 일반용은 1150원에서 1270원으로 각각 올렸다.
대구시는 지난 1월 납기분부터 가정용 상수도 요금을 1㎥당 580원에서 630원으로 8.6% 올렸다. 경기도 성남시도 같은 달 상수도 요금을 약 18% 인상했다.
최근엔 식수에 대한 부담도 커지고 있다.
지난달 가공식품 중 생수의 물가 지수는 109.24로 한 달 새 7.1% 올랐다. 이는 2011년 7월(9.5%) 이후 11년 7개월 만에 최고 상승률이다.
페트병 등의 재룟값과 더불어 인건비가 상승하면서 생수 출고가가 오른 것으로 풀이된다.
선예랑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