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찰청 차원에서 ‘인공지능 음성인식 기술 조서 작성 시스템(AI 조서)’으로 성폭력 피해를 조사하는 제도를 시행하고 있지만, 사투리 등 조건별로 오류가 잦아 현장 활용률이 낮은 지역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광주경찰청은 지난해 1월부터 최근까지 성폭력 피해 조사 등을 위해 'AI 조서'를 활용한 경우는 175건이라고 밝혔다.
같은 기간 관내에서 AI 조서를 활용할 수 있었던 사건이 성폭력 1040건, 가정폭력 801건, 스토킹 범죄 235건 등 총 2076건이었던 점에 비해 볼 때 활용률은 8%에 그친 셈이다.
AI 조서는 인공지능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해 피해 조사를 진행하는 것으로, 수사관은 진술을 직접 들으며 조서를 작성하는 부담을 덜고, 피해자는 더 편하게 대화하듯 진술할 수 있게 한다는 취지로 도입됐다. 주로 성폭력 피해 조사에 사용되며 필요한 경우 가정폭력·스토킹 범죄에도 활용된다. 올해부터는 피의자 조사도 AI 조서를 활용할 수 있게 됐다.
그러나 아직 활용도는 매우 낮다. 시행 초기라 많은 데이터가 쌓이지 않아 오류가 잦고, 수사팀도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않고 있어서다.
일선에서는 사투리나 외래어를 제대로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고, 변호인이나 신뢰관계인 등이 동석해 대화가 섞일 경우 이를 구분해 수정하는 것이 실제 진술 시간보다 3~4배 더 오래 걸린다는 의견도 나온다.
광주 지역 뿐 아니라 울산이나 경북, 제주, 대전 충청권 등 사투리 억양이 강하거나 사투리 사용 비율이 높은 지역에서 AI조서 활용도가 특히 떨어지는 것으로 알려졌다.
광주경찰청 관계자는 “제도 정착 과정에서 불편이 발생하고 있다”며 “여성 청소년범죄 수사팀에서 오류가 잦아 시스템을 꺼리는 경향이 있지만, 사용을 독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서혜원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