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예비창업자 500명 키운다…정부 소상공인 지원안

입력 2023-03-21 17:05 수정 2023-03-21 17:23
조경원 중소벤처기업부 소상공인정책관이 21일 서울 광화문 정부서울청사 별관 브리핑실에서 소상공인 지원 기본계획(2023~2025년)을 발표하고 있다. 중기부 제공

정부가 매년 예비창업자 500명 키우고 기업의 성장단계에 따른 맞춤 지원을 시행한다. 전통시장 발전을 위해 4조원 규모의 온누리상품권도 발행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21일 대통령 주재 제12회 국무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을 담은 ‘소상공인 지원 기본계획(2023~2025년)’을 발표했다. 앞서 2020년 1차 기본계획을 발표한 뒤 이번이 두 번째 3개년 계획이다. 이번 계획의 방점은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에 찍혔다. 지난 1차 계획에서는 소상공인의 안정적인 경영 유지에 초점을 뒀었다. 기회형 창업의 비중이 높은 30대 이하 소상공인이 늘어나면서, 지원전략을 달리해야 한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에 따라 기업을 창업·성장·도약 단계로 구분해 각 시점에 필요한 도움을 제공한다. 먼저 창업단계 기업을 위해선 일과 생활이 가능한 소상공인 혁신 허브를 5곳 조성하고, 1년에 500명의 예비창업자를 육성한다. 성장단계의 우수기업은 경쟁을 거쳐 최대 1억원의 사업화자금 및 판로 확대를 지원한다. 도약단계의 기업에는 올해 1조2000억원의 성장기반자금을 공급한다.

지역 상권을 살리기 위한 로컬브랜드 구축에도 나선다. 선도 로컬크리에이터를 중심으로 고유한 가치를 가진 골목상권을 올해 총 4곳 조성한다. 전통시장의 주차환경, 화재안전 시스템 등을 개선하고, 온누리상품권을 연간 4조원 발행해 전통시장 방문객을 늘리기 위해 애쓴다. 공동배송센터를 구축하고 전담인력을 양성하면서 전통시장의 디지털 전환도 돕는다.

또 소상공인의 경영위기 극복을 위해 전기・가스요금 지원 및 내수 활성화를 위한 ‘동행축제’ 확대 개최 등도 추진한다.

구정하 기자 go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