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 만에 한국 온 애플페이, ‘문턱 3개’ 넘어야 승산 있다

입력 2023-03-21 15:50 수정 2023-03-21 16:02

애플의 간편결제 서비스 ‘애플페이’가 한국에서 서비스를 시작했다. 2014년 10월 미국에서 서비스에 들어간 이후 약 9년 만이다. 당장은 지갑을 완전히 대체할 수 없다. 사용성과 편의성을 확보하는 게 관건으로 꼽힌다.

애플은 21일 서울 용산구 현대카드 라이브러리에서 애플페이 출시 행사를 열었다. 애플이 서비스 출시행사를 한국에서 열기는 처음이다. 그만큼 애플페이를 한국시장 공략의 중요한 포인트로 삼고 있는 것이다.

애플페이는 아이폰의 ‘지갑’ 애플리케이션에 현대카드에서 발행한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를 추가하면 사용할 수 있다. 아이폰 뿐만 아니라 애플워치, 아이패드, 맥 등에서도 쓸 수 있다.


행사에는 던킨 올비 애플페이 인터내셔널 총괄이 참석했다. 그는 “현대카드와 함께 한국 고객에게 애플페이를 선보여 매우 설렌다. 애플은 한국 사용자에게 보다 나은 경험을 제공하고 삶을 향상시키는 제품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방식을 모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정태영 현대카드 부회장은 “애플페이가 한국에 들어오면서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EMV 승인 방식이 처음 도입됐다. 간편하고 훨씬 안전한 NFC 단말기가 확산하는 날이기도 하다. 오늘은 한국 페이먼트에 중요한 이정표가 되는 날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오늘 오전에만 17만명의 현대카드 고객이 애플페이에 등록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당분간 아이폰 사용자들은 카드를 함께 가지고 다녀야 할 전망이다. 애플페이가 경쟁력을 갖추려면 크게 3가지를 해결해야 한다. ①애플페이를 쓰려면 현대카드가 있어야 한다. 현대카드와 애플 간에 ‘독점계약’은 없어졌지만, 애플이 다른 카드사와 계약을 맺고 서비스 준비를 하는 데 최소 1년이라는 시간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애플은 아직 다른 카드사와는 계약을 맺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②애플페이는 NFC 결제 단말기가 있어야 작동한다. 때문에 사용처가 제한적이다. 현대카드에 따르면 애플페이 사용이 가능한 가맹점은 현대카드 매출 기준으로 50% 정도다. 백화점(롯데백화점, 현대백화점), 대형마트(홈플러스), 편의점(CU, GS25, 세븐일레븐, 미니스톱), 외식업체(맥도날드, 롯데리아, 파리바게뜨, 폴바셋) 등에서 오프라인 결제가 가능하다. NFC 결제 단말기의 보급속도에 따라 사용 가능 매장은 차츰 늘어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애플페이 사용자가 많지 않은데, 일선 매장에서 비용을 들여가며 NFC 단말기를 교체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③애플페이에는 교통카드 기능이 없다. 이건 큰 약점이다. 간편결제 서비스에서 사용 빈도가 가장 높은 핵심기능은 교통카드로 꼽힌다. 애플페이는 미국 일본 중국 등에선 교통카드 기능을 제공하고 있다. 나라별로 교통카드 기술 방식이 다르기 때문에 애플과 한국 업체들의 협력이 필요한 것으로 전해진다. 교통카드 기능이 언제 가능할 지도 미지수다.

김준엽 기자 snoop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