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는 동구 일원 개발제한구역에 72만㎡ 규모의 미래자동차 부품 집적 단지를 조성한다고 21일 밝혔다.
시는 현대자동차 전기차 전용 공장 조성에 발맞춰 자동차 산업의 패러다임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새로운 성장 동력을 선점하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현대차는 지난해 울산공장에서 전기차 17만1000대와 수소전기차 1만1000대를 각각 생산했다. 올해는 전기차 20만2000대와 수소전기차 1만1000대를 생산하는 등 친환경 미래차 생산을 꾸준히 늘리고 있다. 현대차는 2030년까지 국내 전기차 생산량을 144만대까지 늘린다는 계획이다.
원활한 자동차 생산을 위해 관련 부품 수급이 급선무인데 현재 울산의 부품공장은 대부분 북구·경주 등지에 몰려 있다. 울산공장까지 최소 1시간 이상 걸린다.
이에 따라 울산시는 현대차와 신규 부품 업체 유치를 위해 현대차 울산공장에서 10~20분 이내에 운송이 가능한 부지를 선정해 친환경 미래차 부품 업체가 들어서는 산단을 조성하기로 기본 방침을 정했다.
특히 인구가 갈수록 줄어들고 있는 동구에 산업단지가 들어서면 새로운 성장동력이 생겨나고 일자리도 크게 늘어나면서 울산지역의 지역균형발전에도 기여할 수 있다.
시가 추진중인 사업지는 개발제한구역이기 때문에 국토교통부와 해제 관련 협의가 선행되어야 한다. 시는 친환경 미래차 확대 생산에 따른 관련 부품 업체 확보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국토부에 개발제한구역의 조속한 해제를 요청하고 있다.
시는 2024년까지 산단 지정을 승인하고 보상을 거쳐 오는 2027년 12월 산단 조성을 완료한다는 계획이다.
시는 오는 2025년 현대차 전기차 전용 공장이 가동되는 만큼 산단 부지를 조성하면서 준공 전 사용 승인이 가능하도록 공장 조성도 병행해 전기차 부품 수급에 차질이 없도록 지원한다.
울산시 관계자는 “친환경차는 미래 울산의 핵심 산업이며, 이차전지와 미래차 등 기존 산단과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는 배후 산단 확보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울산=조원일 기자 wc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