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98억원의 예산을 투입해 자립준비청년의 자립생활, 주거안정, 심리정서, 취업진로, 보호종료, 자립기반 등 6개 분야를 지원하는 ‘인(仁)품사업’을 추진한다고 21일 밝혔다.
인품사업은 시와 시민 모두 힘을 모아 부모의 품처럼 자립준비청년을 지원한다는 취지를 담고 있다.
자립준비청년은 아동양육시설, 공동생활가정, 가정위탁 등에서 생활하다가 만 18세(본인 희망 시 만 24세)가 돼 보호가 종료된 청년이다. 인천에는 매년 70여명의 자립준비청년이 사회로 나와 홀로서기를 준비하고 있다. 지난 1월 말 기준 인천의 자립준비청년은 모두 619명이다.
시는 우선 자립준비청년의 자립생활 지원을 위해 자립정착금을 800만원에서 1000만원으로 늘린다. 자립수당도 35만원에서 40만원으로 인상한다. 자립지원전담기관을 통해 월 40만원 범위에서 생활, 주거, 교육, 의료 등 사례관리비를 지원하는 대상도 70명에서 105명으로 확대한다.
주거안정을 위해서는 교통이 편리한 지하철역 인근에 자립생활관 및 체험관을 운영한다. 자립생활관은 민간기업으로부터 후원을 받아 건립할 예정이다.
심리정서와 관련해서는 자립준비청년 자조 모임 ‘바람개비 서포터즈’를 지원한다. 행정, 법률, 세무, 의료 등 각 분야에서 뜻있는 시민 등으로 구성된 멘토단도 운영할 방침이다.
취업진로에 대해서는 자립준비청년이 적성을 알고 취업 교육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진로상담을 추진한다. 생계 등의 이유로 직업교육에 집중하기 어려운 자립준비청년에게는 일과 직업 체험을 병행할 수 있는 생활 밀착형 일자리를 발굴·연결한다.
시는 또 미리 자립 장애요인을 없앨 수 있도록 보호종료 이전부터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만 15세 이상 아동복지시설 및 가정위탁 보호 대상 아동들이 단계적으로 자립을 준비할 수 있도록 금융, 진학, 취업, 기술 등을 교육한다.
오는 9월에는 자립준비청년의 자립기반 조성을 위한 인천형 자립 지원 정책도 마련된다. 현재 시는 자립준비청년의 실태·욕구 파악 등을 위해 인천여성가족재단과 ‘자립준비청년 자립 지원 강화방안 연구’를 진행 중이다.
김지영 시 여성가족국장은 “자립을 준비하는 청년이 사회에 나가는 과정에서 겪게 되는 현실적인 어려움을 잘 알고 있다”며 “부모의 품처럼 자립을 지원해 주는 인품사업을 체계적으로 추진해 자립준비청년이 건강한 사회구성원으로 정착할 수 있도록 힘을 모으겠다”고 말했다.
인천=김민 기자 ki84@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