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세가 된 만혼”…40대 초반 신부가 20대 초반보다 많다

입력 2023-03-20 08:04 수정 2023-03-20 10:35
기사의 이해를 돕고 위한 이미지. 픽사베이

2년 연속 40대 초반에 결혼하는 여성이 20대 초반에 결혼하는 여성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인구 감소와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가 맞물린 결과라는 해석이 나온다,

20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40대 초반(40∼44세) 여성의 혼인 건수는 1만949건이었다. 20대 초반(20∼24세) 여성의 혼인 건수인 1만113건보다 많았다.

40대 초반 여성의 혼인 건수가 20대 초반 여성의 혼인 거수를 앞지르는 건 2021년부터다. 2021년 40대 초반 여성의 혼인 건수는 1만412건이었고, 20대 초반 여성의 혼인 건수는 9985건에 그쳤다. 40대 초반 여성의 혼인 건수가 20대 초반 여성의 혼인 건수를 앞선 것은 관련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90년 이후 처음이었다.

25년 전인 1997년 통계와 비교해보면 40대 초반 여성의 혼인 건수는 7322건에서 1만949건으로 50%나 늘어났지만, 같은 기간 20대 초반 여성의 혼인 건수는 13만6918건에서 1만113건으로 93%나 감소했다. 전체 혼인 건수도 1997년 38만8960건에서 19만1690건으로 51%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변화는 인구 감소에 따른 구조적인 요인과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가 맞물린 결과로 보인다.

20대 여성 인구 자체가 크게 줄어들고 있다. 연령별 주민등록 연앙인구(연초와 연말 주민등록인구의 산술평균)를 보면 20대 초반 여성은 1997년 204만7000명에서 지난해 144만9000명으로 29.2% 줄었다. 하지만 40대 초반 여성은 같은 기간 168만2000명에서 195만6000명으로 16.3% 늘어났다.

결혼해야 한다는 인식도 20대에서는 가장 낮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통계청 사회조사에 따르면 결혼해야 한다고 생각하는 20대 비중은 35.1%에 그쳤다. 10대(29.1%)를 제외하고 전 연령대 중에서 가장 낮은 수치다. 반면 40대 가운데 결혼해야 한다고 답한 이는 42.3%였다.

김판 기자 p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