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8일 선출된 ‘김기현 대표 체제’가 출범 열흘을 조금 넘긴 시점에서 국민의힘 지지율이 떨어지는 ‘역컨벤션 효과’라는 난감한 상황에 빠졌다.
한국갤럽이 지난 17일 공개한 여론조사 결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34%를 기록했다. 전주보다 4%포인트 떨어진 수치다.
통상적으로 전당대회 직후 지지율이 오르는 ‘컨벤션 효과’를 누리지 못하고, 오히려 지지율이 하락하는 ‘역컨벤션 상황’에 직면한 것이다.
한국갤럽의 여론조사에서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도 전주보다 1%포인트 떨어진 33%의 지지율을 기록했다. 윤 대통령에 대한 부정평가는 2%포인트 상승한 60%로 집계됐다.
여권은 ‘대일 저자세 외교’ 논란과 ‘주 최대 69시간 근로’ 논란이라는 ‘쌍둥이 악재’에 휩싸여 있다.
김 대표가 이들 악재의 파편을 맞았다는 분석도 있다.
김기현 대표 체제 등장 이후 국민의힘 지지율이 떨어지는 것과 관련해 크게 세 가지 이유가 거론된다.
우선, 윤석열 대통령이 민감한 ‘강제징용 해법’ 등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김 대표가 중재자 역할을 맡지 못하면서 ‘예스맨’ 이미지가 굳어지고 있다는 지적이 제기된다.
두 번째로, ‘주 최대 69시간 근로’ 논란 등 정책적 측면에서 국민의힘이 뾰족한 대안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는 점도 부정 평가에 영향을 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당내 인선에서 화학적 결합을 이뤄내지 못했다는 ‘연포탕(연대·포용·탕평) 실패론’도 김 대표의 발목을 잡고 있다.
김 대표는 이날 대표 취임 이후 처음으로 열린 고위당정협의회에 참석해 “정부 입안·발표 이전에 당과 정부, 대통령실 간에 충분한 논의와 토론이 선행돼야 한다는 점을 다시 한번 강조한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이어 “어떤 정책이든 한번 발표되고 나면, 현장에서 느끼는 파급효과가 매우 크고 때로는 취지와 다르게 자칫 다른 부분이 확대돼 해석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번 발언과 관련해 김 대표가 ‘주 최대 69시간 근로’ 논란을 겨냥해 정부 부처를 향해 낮은 수준의 ‘군기잡기’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김 대표가 당권을 두고 경쟁했던 안철수 의원과 황교안 전 대표를 만나는 등 통합 행보에 주력했지만, 화학적 결합이 이뤄진 것은 아니라는 평가가 우세하다.
조진만 덕성여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국민일보와의 전화통화에서 “김 대표가 단순 관리자가 아니라, 대통령과 소통하는 적극적 조정자 역할을 보여줄 수 있는지가 내년 총선 승리의 관건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김 대표는 20일 최고위원회의에서 당 민생특별위원회를 구성하고, 위원장에는 조수진 최고위원을 임명하기로 했다.
구자창 박성영 기자 criti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