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정부의 한·일 정상회담이 마무리되는 17일 국민의힘은 “윤 대통령의 선택에 대해 역사가 제대로 평가해줄 거라고 생각한다”고 치켜세웠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정권이 결국 일본의 하수인이 되는 길을 선택했다”고 비판했다.
주호영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한일 정상은 한일 양국이 안보와 경제, 글로벌 어젠다에서 협력해야 할 파트너라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셔틀 외교를 복원하기로 뜻을 함께했다”며 “지난 몇 년 간 양국 사이 세워진 불신과 불통의 장벽이 무너지기 시작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한일관계의 정상화는 복합적 위기에 놓인 우리 경제에 새로운 기회와 활력을 줄 것”이라며 “윤석열정부의 미래를 위한 결단에 대해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는 1998년 10월에 발표된 김대중·오부치선언과 한일 공동선언을 포함해 역대 내각의 역사의식을 계승한다고 화답했다”고 강조했다.
정부의 강제징용 해법을 두고 부정적인 여론이 생기는 것에 대해서는 “강제동원에 대한 직접적 사죄를 요구하는 일부 여론을 만족시키지는 못했지만 김대중·오부치선언은 통절한 사죄를 담고 있는 것이어서 이에 대한 재확인은 양국의 새로운 미래 발판”이라며 “크게 보면 사죄가 포함된 것으로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치적 손해를 예상하면서도 국민과 미래를 위한 결단을 내린 윤 대통령의 선택에 대해선 역사가 제대로 평가해줄 거라고 생각한다”고 전했다.
민주당을 향해서는 “민주당은 여당 때도 반일 감정을 부추겨 선동했고 야당이 돼서도 반일 감정을 선동한다”며 “나라의 미래는 안중에도 없고 정치적 계산만 하는 민주당은 국민이 엄중히 심판할 것”이라고 비판했다.
이철규 사무총장도 “지난 정부에서 죽창가를 부르며 반일 감정을 정치적으로 악용하며 소원해진 양국 관계가 이번 정상회담으로 하루아침에 메워지진 않겠으나 미래로 나가기 위한 첫발 내디뎠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반면 민주당은 이번 한·일 정상회담에 대해 “외교사에서 가장 부끄럽고 참담한 순간”이라고 평가했다.
이재명 민주당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 회의에서 “윤석열정권이 결국 일본의 하수인이 되는 길을 선택했다”며 “참 발언하기도 조금 그럴 정도”라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또 “일본에 조공을 바치고 화해를 간청하는 그야말로 항복식 같은 그런 참담한 모습이었다”며 “오므라이스 한 그릇에 국가의 자존심과 피해자의 인권 역사의 정의 전부를 다 맞바꾼 것이라는 국민의 한탄 소리가 틀려 보이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강제징용 해법에 대해서는 “최대 현안인 강제동원 문제에 대해서는 일본의 사죄나 반성은 전무”라며 “정부가 공언했던 일본의 대응조치는 언급조차 없었다”고 비판했다.
이어 “정부 배상안에 대해 피해자가 공식 거부했고 국민도 반대하고 있다”며 “그런데 대통령은 구상권 청구는 없을 것이라고 일본 눈치만 살폈다”고 지적했다.
박홍근 원내대표도 “구상권 청구를 하지 않겠다고 윤 대통령이 일본 총리와 기자들 앞에서 당당하게 답하면서 이번 방일은 최악의 굴종 외교로 분명하게 판가름 났다”며 “임기 4년 남은 한시적 대통령이 한일 양국의 식민 역사를 영원히 봉인이라도 하겠다는 듯 일본이 바라는 바대로 말하고 움직였다”고 강하게 비판했다.
박민지 기자 pmj@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