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도 수산자원연구소가 보령 대천항 인근 해역에 꼼치 부화자어(어류가 난막을 뚫고 밖에 나온 단계) 10만마리를 방류한다고 16일 밝혔다.
이날 1차로 5만여 마리를 방류한 연구소는 이달 중 10만마리를 모두 방류할 계획이다.
‘물메기’로 알려진 꼼치는 겨울철 대표 소득 품종이다. 성장이 빠른 1년생 어류여서 자원조성 효과가 높다.
산란기인 12~3월 연안으로 올라와 해조류 등에 산란하는 특성이 있는데 통발·그물 등에 산란할 경우 방치되다 소멸되는 경우가 많다.
이 때문에 도내 꼼치 어획량은 2020년 1098t에서 지난해 601t으로 크게 감소했다. 어획량이 감소하면서 지난해 12월에는 20㎏ 1상자당 위판가가 24만원까지 치솟기도 했다.
연구소는 지난달 7일 대천항 인근에서 포획한 어미 꼼치의 산란을 유도해 수정란을 육상수조에서 확보했다. 이후 어업인과 함께 어구(통발)에 부착된 수정란을 수거한 뒤 약 1개월간 관리해 꼼치자어를 생산했다. 부화한 꼼치자어를 방류하기 전 질병검사를 실시한 결과 안전하고 우량한 종자인 것으로 확인됐다.
도 수산자원연구소 관계자는 “일회성 방류에 그치지 않고 꼼치의 생활, 먹이생물 등을 지속적으로 연구해 자원 감소원인을 규명하겠다”고 말했다.
보령=전희진 기자 heeji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