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양국 경제단체를 대표하는 전국경제인연합회와 게이단렌이 “한일·일한 미래 파트너십 기금을 창설하기로 했다”고 16일 밝혔다.
김병준 전경련 회장 직무대행과 도쿠라 마사카즈 게이단렌 회장은 이날 일본 도쿄 게이단렌 회관에서 공동 기자회견을 열고 이런 내용이 담긴 ‘한·일 미래 파트너십 선언’을 발표했다.
두 단체는 “한·일 재계 회의 개최 등을 통해 한·일 경제교류 강화를 위한 방안에 대해 검토를 거듭해왔다”면서 “이번 기회에 미래지향적인 한·일 관계 구축을 위한 길을 확고히 하기 위해 양 단체는 공동 사업을 실시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기금을 통해 새로운 국제질서 속에서 한·일 양국이 나아가야 할 미래상 및 협력 방안에 대한 연구와 양국이 직면한 공통 과제의 해결을 위한 사업의 실시, 미래를 담당할 젊은 인재 교류의 촉진 등 양국 간 경제 관계를 한층 더 확대하고 강화하는데 임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김 회장직무대행이 한·일 미래 파트너십 기금을, 도쿠라 게이단렌 회장이 일·한 미래 파트너십 기금 회장을 각각 맡는다.
양 단체는 두 회장이 공동회장을 역임하는 운영위원회도 구성키로 했다. 양 단체가 사무국 역할을 맡는다.
공동사업으로는 ‘정치·경제·문화 분야에서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를 구축하기 위한 연구 및 사업 실시’ ‘미래를 담당할 젊은 인재 교류 촉진’ 등을 꼽았다.
김 회장직무대행은 기자회견에서 ‘강제징용 배상 소송의 피고 기업이 기금 조성에 참여하느냐’는 질문을 받고 “개별 기업이 출연하는 것이 아니라 전경련과 게이단렌이 출연해서 일단 시작한다”고 답했다.
이어 “개별 기업 참여 여부는 각각 의사에 달렸다”고 부연했다.
이날 기자회견은 화기애애한 분위기 속에 진행됐다.
양 단체는 특히 한·일 관계를 두고 “1965년 국교 정상화 이후 폭넓은 분야에 걸쳐 교류를 심화하고 함께 협력하며 큰 발전을 이루어 온 필수불가결한 파트너”라고 치켜세웠다.
그러면서 최근 한국 정부가 강제징용 문제 해결책을 발표했고 이에 대해 일본 정부가 긍정적으로 평가했다며 양국 간 교류 확대에 기대감도 드러냈다.
우리 정부는 지난 6일 2018년 대법원으로부터 배상 확정판결을 받은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재단이 일본 기업을 대신해 판결금을 지급한다고 발표했다.
손재호 기자 sayho@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