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환 “‘기꺼이 친일파’ 반어적 표현일뿐…분란은 제 책임”

입력 2023-03-16 10:25
김영환 충북지사가 지난 9일 충북도청 브리핑룸에서 RISE 시범사업 추진 계획을 설명하고 있다. 충청북도 제공

‘기꺼이 친일파가 되련다’는 발언으로 논란을 일으킨 김영환 충북지사가 16일 “도민들께 많은 부담을 드리고 분란을 가져온 것은 모두가 제 책임”이라고 밝혔다.

김 지사는 이날 자신의 페이스북에 “청주 시내에 저를 친일파라고 매도하는 현수막이 붙었다”면서 “답보 상태의 한일관계를 미래지향적으로 이끌고자 경주해 온 정부의 고심에 찬 노력을 환영하는 내용의 제 글에 대한 반감 때문”이라며 글을 시작했다.

이어 “제 글은 ‘윤석열 대통령의 결단이 친일이라면 그에 동의하는 저 또한 친일파라는 말인가’하는 맥락에서 나온 것이었다. 애국심과 충정의 강조였는데 많은 논란을 빚었다”고 해명했다. 그러면서 “개인적으로는 참으로 안타깝지만 모두 제가 감당해야 할 몫”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그러나 정부 결정에 대해서는 거듭 옹호했다. 그는 “1964년 한일협정 당시 박정희 대통령, 1998년 일본문화 개방을 결정한 김대중 대통령, 오늘의 윤석열 대통령은 모두 친일 굴욕으로 몰렸지만 옳았다”고 주장했다.

이어 “윤석열 정부가 마련한 이 해법(제3자 변제)은 대한민국의 저력에서 발로한 자신감 그 자체”라고 말하며 “일보양보라는 이 스마트한 제안에 박수를 보낸 것”이라고 말했다.

김 지사는 그러면서 “‘기꺼이 친일파가 되겠다’는 발언은 이런 소신과 구국의 결단이 친일로 매도된다면 그 비난이라도 받을 수밖에 없다는 반어적 표현일뿐 일본 편에 서겠다는 것은 아니다”고 거듭 주장했다.

앞서 김 지사는 지난 7일 페이스북에 “윤 대통령의 ‘통 큰 결단’에 고개 숙여 경의를 표한다”며 정부의 강제징용 피해배상 해법을 옹호하는 글을 올려 파장을 일으켰다.

이후 지역 시민단체와 정치권은 즉각 반발하며 김 지사의 발언을 규탄했다.

오기영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