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의 관저 이전 결정에 역술인 천공이 개입했다는 의혹을 수사 중인 경찰이 15일 국방부를 압수수색했다.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이날 서울 용산구 국방부 별관에 있는 운영지원과에 수사관을 보내 차량 출입 기록 등을 확보했다. 경찰은 압수물 분석을 통해 천공이 국방부 영내 육군 서울사무소를 다녀갔다는 의혹을 들여다볼 예정이다.
경찰은 대통령 경호처로부터 한남동 육군참모총장 공관 CCTV 하드디스크를 받아 삭제된 부분을 복구하는 포렌식 작업도 진행 중이다. 서울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공관 CCTV 영상에 천공이 등장하지 않더라도 참고인 자격으로 불러 조사할 방침이다.
서울경찰청 관계자는 지난 13일 정례 기자간담회에서 “영상 여부와는 관계없이 (천공은) 중요한 참고인이기 때문에 출석해서 진술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다만 “천공에게 계속해서 연락을 취하고는 있으나 접촉이 원활하지 않다”고 말했다.
앞서 지난해 12월 김종대 전 정의당 의원은 천공이 한남동 관저 이전 결정에 개입했다고 폭로한 바 있다. 이후 지난 2월 부승찬 전 국방부 대변인이 자신의 저서에 “남영신 당시 육군참모총장이 공관 관리관으로부터 ‘천공과 김용현 대통령 경호처장이 참모총장 공관과 서울사무소를 사전답사 했다는 보고를 받았다’고 이야기했다”고 쓰면서 해당 의혹이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육군참모총장 공관은 대통령 관저 후보지였지만, 최종적으로 외교부 장관 공관이 대통령 관저로 확정됐다.
대통령실은 김 전 의원과 부 전 대변인, 부 전 대변인 주장을 보도한 언론사를 고발했다. 이에 한 시민단체가 “국민의 알 권리를 짓밟으려 한 행위”라며 김대기 대통령 비서실장과 김용현 경호처장을 고발했고,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이가현 기자 hy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