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실은 15일에도 ‘주 최대 69시간 근로’ 논란 진화에 주력했다.
김은혜 대통령실 홍보수석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 브리핑에서 “주당 최대 근로시간은 노동 약자의 여론을 더 세밀하게 청취한 후 방향을 잡을 것”이라고 밝혔다.
MZ 세대를 포함해 비판 여론이 거세지자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재검토 지시를 내린 데 이어 연이틀 ‘주 최대 69시간’ 근로 논란 ‘불 끄기’에 전력을 다한 것이다.
특히 대통령실은 윤 대통령의 16∼17일 일본 방문과 16일 한·일 정상회담을 앞두고 더욱 긴장하는 모양새다.
강제징용 해법과 관련해 ‘저자세 외교’ 논란이 사그라들지 않은 상황에서 ‘주 최대 69시간’ 근로 논란까지 불붙는 것을 우려하는 눈치다.
김 수석은 “윤 대통령의 노동시장 정책 핵심은 MZ 근로자, 노조 미가입 근로자, 중소기업 근로자 등 노동 약자의 권익 보호”라며 “근로시간 유연화 정책은 종래 주 단위로 묶인 것을 월, 분기, 반기, 연 단위로 자유롭게 노사 협의하도록 하되, 주당 최대 근로시간은 노동 약자의 여론을 더 세밀히 청취한 뒤 방향을 잡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주 최대 근로시간을 52시간에서 얼마나 늘리는 게 타당하고 적합한지, 여론조사와 포커스그룹인터뷰(FGI) 등을 통해 마련하겠다는 것”이라며 “노동 약자들이 원하는, 합리적인 기준을 제시하려고 한다”고 말했다.
대통령실이 ‘주 최대 69시간’ 근로 백지화 가능성까지 시사하면서 적극적인 여론 설득작업에 나선 것은 이번 논란으로 민심이 악화될 수 있다는 점을 우려하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 등 야권이 정부의 강제징용 해법과 한·일 정상회담을 두고 ‘굴종 외교’라며 파상공세를 펼치는 것도 부담이다.
국민의힘도 대통령실의 입장에 보조를 맞췄다.
김기현 국민의힘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주 최대 근로시간) 69시간은 너무 과도한 시간으로 보인다”며 “총근로시간을 늘리는 건 절대 안 되지만, 그 범위 내에서 어떻게 탄력적으로 조정할지는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듣고, 여론을 수렴한 다음 결정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김 대표는 그러면서 “사업의 성격, 규모, 그리고 하는 일의 종류에 따라 탄력성 없이 무작정 획일적으로 주 52시간에 묶는 게 때로는 현장에 맞지 않는다는 목소리가 있다”며 “(제도 개편을) 백지화할 문제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김 대표는 이정식 노동부 장관 책임론에 대해서는 “(개편안을) 발표하거나 공감대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좀 매끄럽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정현수 문동성 기자 jukebox@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