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국가산업단지 지정 50년 만에 ‘창원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단’이 신규 국가산업단지로 선정돼 창원이 재도약하는 발판이 마련 됐다.
경남도는 대통령실과 대정부 건의 등 국가산단 유치 노력의 결실로 ‘창원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단’이 신규 국가산업단지로 확정됐다고 15일 밝혔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14일 산업입지정책심의회 심의를 통해 경남도와 창원시가 신청한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단을 포함한 신규 국가산단 15곳(경북 3곳, 충남, 전북 각 2곳, 경남, 대구, 광주, 대전, 경기, 강원, 충북, 전남 등 각 1곳)을 확정했다.
확정된 경남도의 신규 국가산단은 방위, 원자력 분야 산업인프라 구축을 위해 1조4000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해 창원시 의창구 북면 일대에 3.39㎢ 규모로 조성될 예정이다.
정부는 지난해 9월 지역 신산업 육성과 성장거점 조성 등을 위해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 선정 계획을 마련하고 전국 10개 시·도 18개 후보지를 신청받아 전문가 평가위원회를 통해 적정성을 검증했다.
도와 창원시는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전략산업으로 방위산업과 원자력산업 중점 육성과 생산거점 확보를 위해 지난해 10월 국토부에 창원시 의창구 북면 일대를 신규 국가산단 후보지로 신청했다.
이후 도를 중심으로 지역 국회의원, 창원시와 국토교통부와 농림축산식품부 등 중앙부처를 수 차례 방문, 각종 규제 해소 협의와 개발제한구역 제도개선을 건의하는 한편 입지 타당성에 대해 현장 설명하는 등 신규 국가산단 선정에 총력을 기울여 왔다.
특히 박완수 경남지사는 신규 국가산단 유치를 위해 해제 가능한 개발제한구역을 집중 발굴하고 정부와 시도지사협의회 등기회가 있을 때마다 개발제한구역 해제를 비롯한 각종 규제 완화를 건의 했다.
경남은 방위산업 수출 무기 체계인 K2전차, K9자주포, FA-50경전투기 등 생산지로 ‘K-방산 주역’으로 불리며 특히 창원은 현대로템과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 지정방산업체 17개가 자리잡고 있다.
또 두산에너빌리티 등 원자력산업 핵심기업과 다수의 협력사(경남 269개, 창원 170여 개)가 입주해 있어 방위·원자력 산업 집적지로 강점을 가지고 있다.
정부가 공을 들이고 있는 원자력 산업 생태계 회복과 방위산업 육성강화 및 수출 확대 등이 국정 핵심과제로 추진 중임에 따라 국가정책과 함께 국가산단 확정에 있어 높은 점수를 받은 것으로 보인다.
경남은 기존 창원국가산업단지(1974년 지정, 36㎢)를 중심으로 한국 최대 기계산업 집적지로 세계적인 기업들이 입주해 있으나 산업시설용지 포화, 기계산업 침체 등 애로가 이번 선정으로 위기 극복의 신호탄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번 확정으로 전국 국가산업단지는 47개에서 62개로 늘어나고 이 가운데 10개(16.1%)가 경남도에 있어 전국 최다 국가산업단지 소재지로 명실상부 국가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했다.
창원 방위·원자력 융합 국가산업단지가 계획대로 조성되면 7조9000억원의 직접투자와 15조2000억원의 생산 유발효과, 직접고용 1만8000여 명과 5만2000여 명의 고용 유발효과가 기대된다.
박 지사는 “이번 국가산단 선정은 도를 중심으로 지역 국회의원, 창원시와 행정력을 결집한 결과다”며 “방위·원자력 산업 육성과 나노융합, 항공 등 국가산단과 연계해 경남의 산업지도가 차세대 미래 산업으로 전환돼 경남이 재도약하는 발판을 마련하겠다”고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