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코가 정부의 강제징용 해법 발표에 따라 과거 청구권자금 수혜 기업들 가운데 처음으로 기부금을 냈다.
15일 포스코는 일제강제동원피해자지원재단에 40억원의 기부금을 납부했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지난 6일 정부(외교부)의 강제징용 대법원판결 관련한 입장 발표에 따라 과거 재단에 100억원을 출연하겠다는 약정서에 근거해 남은 40억원을 정부의 발표 취지에 맞게 자발적으로 출연하기로 했다”고 설명했다.
앞서 포스코는 2012년 3월 포스코 이사회 의결을 통해 재단에 100억원을 출연하기로 했으며 2016년과 2017년에 30억원씩 60억원을 출연한 바 있다.
한국 정부는 1965년 ‘한·일청구권협정’을 체결하면서 대일 청구권을 포기하는 대신 약 5억 달러의 경제협력자금을 받았다.
이 가운데 일부는 기업 지원 자금으로 쓰였는데, 당시 포스코의 전신인 포항종합제철이 대표적으로 수혜를 받았다. 전체 청구권 자금의 24%에 해당하는 1억1948만 달러가 투입된 것으로 알려졌다.
최근 정부는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한국 정부 산하의 재단을 통해 배상금을 지급하겠다는 ‘제3자 대위변제’ 해법을 내놨다. 과거 경제협력자금을 지원받은 한국 기업이 일본 가해 기업 대신 배상금을 피해자들에게 지급하는 방식이다.
포스코는 정부의 해법안에 따라 그간 유보된 잔여 약정액 40억원을 출연함으로써 재단과의 약속을 이행했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강민 기자 river@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