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500억원 이상인 부산지역 기업 10곳 중 4곳이 고금리·고물가·고환율 이른바 ‘3고’로 인해 비상경영 체제 돌입을 고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일부 기업은 단기 유동성 위험에 놓인 것으로 조사돼 금융지원 등 대책 마련이 시급한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상공회의소는 14일 지역 상장사와 매출액 500억원 이상의 제조업, 서비스업, 건설업을 대상으로 ‘비상 경영 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에 따르면 고물가, 고금리, 고환율 영향으로 조사기업의 84.9%가 경영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고 응답했다. 요인별로는 고물가(89.3%)가 가장 높았고, 뒤를 이어 고금리(87.3%), 고환율(78.0%) 순이었다. 고환율에 대한 응답이 상대적으로 낮은 것은 글로벌 경쟁력을 갖춘 수출기업에는 오히려 환차익 발생 등 긍정적인 측면이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비상 경영이 필요한지에 대한 질문에는 41.1%가 그렇다고 답했다. 상의 관계자는 “매출 규모가 500억원이 넘는 비교적 규모가 있는 기업들조차 비상 경영이 필요하다는 판에 대기업의 잇따른 비상 경영 선포로 수주물량 확보에 어려움을 겪을 것으로 예상되는 중소기업이나 영세기업의 경우 상대적인 체감도는 더욱 높을 것“이라고 밝혔다.
조사 기업 10곳 중 4곳(39%)은 현재 비상 경영 대책을 검토 중이거나 이미 시행하고 있는 기업으로 파악됐다. 또 15.2%는 단기 유동성 확보에 애로를 겪고 있다고 응답했다.
비상 경영 대응 전략은 ‘유동성 확보’가 30.4%로 가장 높았고, ‘비용 절감’ 27.0%, ‘생산량 조정’ 16.9%, ‘투자 축소’ 14.2%, ‘고용 조정’ 11.5%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유동성 확보를 위해 55.6%가 대출만기 연장을 꼽았고, 경영안정 자금 대출(24.4%), 자산매각(13.3%)이 검토되고 있었다. 비용 절감 방법은 ‘경비 절감’이 82.5%로 압도적이었고, 임금동결은 17.5%에 불과했다.
이밖에 생산량 조정에 있어서는 매출 목표 및 공장 가동 축소에 대한 응답이 많았으며 투자축소를 위해서는 사업장 증설과 설비투자 보류 등 보수적인 접근방법을 선택했다. 고용조정과 관련해서는 채용을 줄이거나 구조조정 등 고강도 대책 수립을 고민하는 것으로 조사돼 3고 현상의 장기화 시 지역 채용시장에서 타격이 있을 것으로 우려된다.
중장기 경영전략으로는 응답 기업 53.7%가 ‘원가관리를 통한 경영안정’을 꼽아 적극적인 투자보다는 안정적인 경영에 무게를 두는 것으로 파악됐다.
부산=윤일선 기자 news8282@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