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는 14일 수소 생태계 조성과 핵심기술 사업화 등 수소 산업 경쟁력 강화 4대 전략과제를 담은 ‘수소 산업 육성계획’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세계 1등 수소 산업 육성’이라는 국정과제와 ‘수소 산업 혁신플랫폼 구축 및 수소 핵심기술 사업화’라는 도정 과제를 위해 도내 수소 산업의 실태 진단과 중장기 육성 방향을 마련한 것이다.
글로벌 수소기업 육성으로 제조업 재도약을 견인, 도는 그동안 경남테크노파크와 도내·외 수소 기업, 대학, 연구소 전문가 등 60여 명의 워킹그룹을 구성해 경남 수소산업 현주소를 진단하고 주력산업과 연계한 신규 과제도 발굴했다.
신규 과제는 산업생태계 확산과 핵심기술 고도화, 기업지원 글로벌 수소 기업 육성, 수소사회 가속화 등 4대 전략 19개 과제 37개 사업으로 규모는 2032년까지 약2조8000억원이다.
경남은 전국 2위의 수소기업이 밀집(경남 234개사(전국 2548개), 생산37, 저장·운송92, 활용92, 서비스13)돼 있으나 수소클러스터, 규제자유특구, 수소인증센터가 없다.
이에 도는 기반시설 구축을 통한 수소 산업 생태계 확장을 위해 밀양에 2026년까지 410억원을 투입해 수소환경 소재부품 기원지원센터를 설립하고 같은기간 1조550억원을 들여 창원과 김해, 밀양에 수소특화단지를 추진할 예정이다.
그동안 수소생산기지, 액화수소플랜트, 수소충전소 등 수소 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연구 개발 사업이 진행돼 왔으나 핵심부품을 수입하는 등 부품 국산화율 제고 필요성이 지속 제기돼 왔다.
이에 청정수소 생산과 액화수소의 저장·운송·충전 핵심기술 개발을 지원해 선박, 항공, 방산 등 주력산업과 연계한 연구·개발(R&D)추진을 위한 7623억원 규모의 19개 사업을 발굴했다.
또 도는 수소기업에 대한 지원도 본격화할 예정으로 경남테크노파크는 지난해 정부의 예비 수소 전문기업 지원기관으로 지정, 올해부터 수소 분야를 전담하는 수소팀을 신설하는 등 글로벌 수소기업을 지원할 수 있는 준비를 마쳤다.
한편 경남 수소산업 육성정책으로 발생하는 경제적 파급효과는 3조9690억원의 생산유발효과, 2만3148명의 취업 유발 효과가 기대된다.
류명현 도 산업통상국장은 “수소산업을 에너지 신산업으로 육성하려는 정부의 확고한 의지와 정부 정책에 맞춰 기술표준을 선도하는 글로벌 수소 기업을 육성해 선박, 항공, 방산 등 도내 주력산업이 재도약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