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00만 명 이상의 대도시 중 의과대학이 없는 유일한 곳인 경남 창원시의 30년 숙원인 창원 의과대학 유치를 위한 본격 움직임이 시작됐다.
창원 의과대학 설립 본격화를 위한 지역 국회의원과 도·시의원, 경제계, 의료계, 교육계, 시민·사회단체 등 1000여 명이 참석한 ‘창원 의과대학 유치 범시민추진위원회’ 출범식과 궐기대회가 13일 창원컨벤션센터(CECO)에서 열렸다.
현재 경남도 의회와 창원시 의회에서도 대정부 건의안을 채택하는 등 지역 분위기는 뜨거운 상황에서 이날 창원 지역사회의 의과대학 유치 공감대 형성과 염원을 결집하기 위한 것이다.
위원회에는 사회 각계각층을 대표하는 인사 180명이 위원으로 위촉됐으며 홍남표 창원시장과 김이근 시의회 의장, 구자천 창원상공회의소 회장이 공동위원장을 맡았다.
이날 참석자들은 “정부는 창원시에 국민 기본권인 건강권 수호를 위해 의과대학 설립 즉시 추진과 날로 심화돼 가는 수도권과 지역의료 격차 해소, 균형 발전 비전을 제시할 것”을 주장했다.
또 지역인재 유출 방지와 우수한 젊은 인재 확보로 104만 창원특례시민의 꿈과 희망 실현, 창원 의료·바이오 산업화 극대화로 미래 경제 50년 대비 주춧돌 마련, 윤석열 정부 공약 조속한 추진 등을 결의했다.
이날 행사에서 참석자들은 공동위원장의 대정부 건의문 서명에 이어 희망 종이비행기를 날리는 세리머니를 통해 의과대학 유치 성공을 기원 했다.
행사에 앞서 ‘100만 시민 100만 서명운동’도 본격 시작됐다. 서명운동은 이날부터 추진위원회의 주도로 진행되며 향후 서명지는 청원서와 함께 정부 등에 전달될 예정이다. 이와 함께 범시민추진위는 의과대학 설립 캠페인, 유치 기원행사 등도 이어갈 계획이다.
한편 현재 창원시와 경남도의 의료지표는 전국 최하위 수준을 나타내고 있다. 인구 10만 명당 의대 정원이 전국 평균 5.9명인데 반해 경남지역은 2.3명으로 나타나고 있다.
또 응급의학 전문의는 2.1명으로 전국 평균 4.5명의 절반 수준이다. 이에 따라 경남 18개 지역 중 14개 지역이 응급의료 취약지역에 해당 된다.
홍 시장은 “창원시는 현재 인구 100만 명 이상의 대도시 중 의과대학이 없는 유일한 곳이며 약대와 치대, 한의대, 로스쿨도 없다”며 “1992년부터 시작된 시민의 30년 숙원인 창원 의과대학 유치가 반드시 관철 되야 한다”고 밝혔다.
창원=강민한 기자 kmh010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