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당에서 판매하는 맥주의 물가가 편의점·마트에서 판매하는 것보다 더 크게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외식 품목 중 맥주의 물가지수는 112.63(2020년=100)으로 1년 전보다 10.5% 올랐다. 마트 등에서 파는 가공식품 맥주의 상승률(5.9%)보다 높은 수치다.
다른 주류도 비슷했다. 소주와 막걸리도 외식 품목 지수가 각각 11.2%, 5.1% 상승률을 기록해 가공식품 8.6%, 1.6%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최근 주류 제조업체들이 맥주·소주 등의 출고가를 연이어 인상한 것이 일차적 이유다. 지난해 3월 하이트진로와 오비맥주는 원·부자재 가격 인상 등을 이유로 테라·하이트·카스 등의 맥주 제품 출고가를 각각 평균 7.7% 인상했다. 지난 2016년 11월 이후 약 6년 만에 인상이다. 소주의 경우 하이트진로와 롯데칠성음료가 각각 지난해 2월 7.9%, 3월 5.1∼7.7% 출고가를 올렸다.
이에 따라 편의점, 마트, 식당 등의 주류가 모두 올랐는데 식당은 인건비 등 운영 부대 비용 부담도 더해진 양상이다. 천소라 한국개발연구원(KDI) 경제전망실 총괄은 “외식 쪽에서 소주·막걸리 등의 가격 인상은 원자재 비용 더하기 인건비 등 식당 자체를 운영하는 비용들도 포함됐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지난해 외식산업연구원이 일반음식점 외식업주 130명을 조사한 결과 55.4%(72명)가 소주 출고가 인상에 따라 소주 판매가격을 올렸거나 올릴 예정이라고 답했으며 이미 올린 업주들은 병당 500~1000원을 인상했다고 답했다.
이런 가운데 정부는 물가 상승 부담을 키우는 맥주·탁주 종량세 물가연동제를 재검토할 계획이다.
종량세는 가격이 아닌 주류의 양 등에 비례해 과세하는 방식인데, 현행 주류 과세는 종량세에 매년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연동시켜 가격 요인을 반영하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 방식이 주류 상승 폭을 더 키우는 요인이 돼 부담을 키운다는 지적이 있어왔다.
오기영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