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전날 잠수함에서 전략순항미사일 2발을 발사해 표적에 명중했다고 13일 밝혔다.
조선중앙통신은 이날 “전략순항미사일 수중발사훈련이 12일 새벽에 진행되었다”면서 “발사훈련에 동원된 잠수함 ‘8·24영웅함’이 조선 동해 경포만 수역에서 2기의 전략순항미사일을 발사하였다”고 보도했다. 경포만은 함경남도 홍원군 앞바다로, 잠수함과 잠수함발사탄도미사일(SLBM) 개발시설이 있는 신포 일대 해상이다.
중앙통신은 “발사된 2기의 전략순항미사일은 조선 동해에 설정된 1500㎞ 계선의 거리를 모의한 ‘8’자형 비행궤도를 7563s(2시간6분3초)∼7575s(2시간6분15초)간 비행하여 표적을 명중 타격하였다”고 주장했다.
이어 “발사 훈련을 통하여 무기 체계의 신뢰성을 확인하고 공화국 핵억제력의 또 다른 중요 구성 부분으로 되는 잠수함 부대들의 수중대지상 공격 작전 태세를 검열 판정하였다”며 “발사 훈련은 자기의 목적을 성과적으로 달성하였다”고 자평했다.
그러면서 “조선로동당 중앙군사위원회는 발사훈련 결과에 만족을 표시하였다”며 “수중발사 훈련을 통하여 미제와 남조선괴뢰역도들의 반공화국 군사적 준동이 노골화되고 있는 현 정세를 시종 압도적인 강력한 힘으로 통제 관리해나갈 우리 군대의 불변한 입장이 명백히 표명되었으며 다양한 공간에서의 핵전쟁 억제 수단들의 경상적 가동 태세가 입증됐다”고 덧붙였다.
북한이 잠수함서 순항미사일을 발사한 것은 처음이다. 8·24영웅함은 2016년 8월 24일 함경남도 신포 앞바다에서 첫 SLBM인 북극성-1형의 수중 발사에 이용한 고래급(2000t급) 잠수함을 말한다. 당시 북한은 수중 발사에 성공했다고 주장하며, 이 잠수함을 8·24영웅함으로 명명했다.
북한이 잠수함에서 순항미사일 발사에 성공함으로써 또 하나의 ‘수중전략무기’를 보유하게 됐다는 의미가 있으며, 한·미 요격망도 위협을 받게 됐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군사 전문가들은 북한 잠수함의 공격 능력이 확대·강화된 것으로 평가했다. 전략순항미사일의 사거리가 1500㎞가량이면 남한 전역과 주일미군기지까지 타격권에 들어간다.
군 당국은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한 지 하루 뒤인 이날 이 같은 사실을 공개했다. 미사일의 제원이 명확하게 파악되지 않았고 북한의 추가 군사행동과 기만전술 등 우려가 있어 군이 즉시 공지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합참은 “우리 군은 감시 및 경계를 강화한 가운데, 한·미 간 긴밀하게 공조하면서 만반의 대비태세를 유지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번 발사는 지난 9일 남포 일대에서 서해 방향으로 ‘신형전술유도무기’ 단거리탄도미사일 6발을 쏜 지 사흘 만이다.
북한의 이번 잠수함 미사일 발사는 이날부터 시작된 ‘자유의 방패’(프리덤 실드·FS) 한·미 연합연습에 반발한 대응 조치로 분석된다. 한·미는 이날 0시를 기준으로 FS 연습에 돌입, 북한의 추가 도발도 예상된다.
북한은 지난해 5월 신포 일대 잠수함에서 단거리탄도미사일을 발사했으며 10월에는 저수지에서 SLBM을 쐈다.
권남영 기자 kwonny@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