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강제징용 해법, 공약 실천이자 미래 위한 결단”

입력 2023-03-12 10:45 수정 2023-03-12 10:46
윤석열 대통령이 국무회의에서 한·일관계 개선과 관련된 발언을 하는 모습을 대통령실이 12일 유튜브 채널을 통해 공개했다. 유튜브 영상 캡처

윤석열 대통령은 최근 ‘한·일 강제징용 배상 협상’에 대해 “미래를 위한 결단”이라며 한·일관계 개선 필요성을 거듭 강조했다고 대통령실이 12일 보도자료에서 밝혔다.

윤 대통령은 지난 7일 국무회의 마무리 발언에서 “강제동원 문제 해법은 대선 공약을 실천한 것”이라며 ‘김대중-오부치 정신 계승과 미래지향적 한·일관계’를 언급한 대선 공약을 거론했다.

그러면서 “취임 초부터 외교부에 해결 방안을 주문했고, 그동안 여러 우여곡절을 통해서 우리 정부의 결단을 내린 것”이라고 설명했다.

윤 대통령은 국무위원들에게 “강제동원 문제를 조속히 풀어내고, 한·일 간 경제·안보·문화 분야 교류를 활성화하는 것이 절실하다는 입장을 초기부터 분명히 했다”며 “국민들께 약속한 선거 공약을 실천한 것이라는 점을 확실하게 인지해달라”고 당부했다.

이런 입장에 대해 환영과 지지 의사를 밝힌 국가 및 국제기구는 미국, 유럽연합(EU), 영국, 독일, 캐나다, 호주, 노르웨이, 핀란드, UN 등 10곳에 달한다고 대통령실은 전했다.

반기문 전 UN 사무총장도 “장기간 경색되어 온 한·일관계에 새로운 미래로 가는 모멘텀을 만들었다는 점에서 윤 대통령의 어려운 결단을 높이 평가한다”고 언급한 바 있다.

대통령실은 “피해자분들과 긴밀히 소통해 진정성 있게 설명하고, 피해자분들의 의견을 경청하는 등 최선의 노력을 다할 것”이라며 “실질적 권리 구제와 한·일관계의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 힘쓰는 동시에 국제사회 지지를 받는 해법이 성공적으로 이행되도록 후속 조치를 이어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대통령실은 한·일관계 개선과 관련된 윤 대통령의 국무회의 발언을 일부 편집해 이날 유튜브 쇼츠(https://han.gl/MggVK)로 공개하기도 했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으로부터 선물 받아 집무실 책상 위에 올려둔 명패의 문구 ‘모든 책임은 내가 진다’(The Buck Stops Here)를 쇼츠 영상에서 부각했다.

11일 오후 서울시청 광장 동편에서 열린 ‘강제동원 굴욕해법 무효 촉구 2차 범국민대회’에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비롯한 참석자들이 관련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한편 야권은 정부의 일제 강제동원 피해자 배상안에 대해 일제히 ‘굴욕외교’라고 비판했다. 더불어민주당과 정의당은 전날 서울시청 앞에서 ‘강제동원 굴욕해법 강행 규탄 2차 범국민대회’를 열었다.

한일역사정의평화행동,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 등 시민단체와 함께한 행사에는 민주당 이재명 대표를 비롯한 의원들, 이정미 정의당 대표 등이 참석했다.

이 대표는 단상으로 나와 “역사의 정의를 배신했다가 몰락한 박근혜 정권의 전철을 밟지 말라”며 “지금 당장 굴욕적인 강제동원 배상안을 철회하고 국민과 피해자에게 사죄하라”고 촉구했다.

김성훈 기자 hunhu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