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장애인 친화도시 조성을 위해 향후 4년간 1580억 원을 투입한다. 생애주기별 장애인 복지정책을 통해 장애인 삶의 질을 한층 높이는 것이다.
광주시는 “올해부터 장애인이 삶을 꾸려나가는 데 한층 편리한 생활환경을 만들기 위해 디지털 전환시대에 발맞춘 스마트 장애인복지 기반 구축에 나선다”고 12일 밝혔다.
시가 2026년까지 추진하는 제2차 장애인 정책 종합계획은 ‘삶에 행복을 잇는 장애인 친화도시 광주’를 장기 목표로 장애인들의 공감·체감을 끌어내는 것을 정책목표로 삼았다.
이를 위해 중증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창출, 인권 친화 공동체 조성, 문화·교육·체육 기반 구축, 사회참여 활성화, 장애 유형별 생활 지원 서비스 등 5대 분야 42개 세부사업을 구체적 당면 과제로 정했다.
우선 취업난을 덜어주기 위해 다양한 취업지원과 더불어 중증장애인 맞춤형 일자리 740여 개를 새로 마련한다. 소득보장 차원에서 장애인 생산품을 우선 구매하거나 고용하는 지역 기관·기업에는 다양한 인센티브 제공을 활성화한다.
가정폭력과 성폭력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통합적 지원체계를 확립하고 장애가 있는 보호 종료 아동·청년, 발달지연 아동을 돌보는 지역 장애아동 지원 기능은 대폭 확대한다.
피해 장애아동 쉼터 등 장애인 권익보장기구 6개는 이 기간에 신설한다.
장애인이 일상에서 문화예술을 향유·경험해 다양한 직업 분야로 진출하도록 돕는 특화형 문화예술·교육 프로그램을 확충하고 거점기관은 육성한다.
5개 자치구를 평생학습도시로 지정해 전문강사를 양성하고 평생교육 시설도 별도 운영한다. 자치구별 장애인 실업팀 창단과 더불어 장애인 e스포츠도 육성하는 등 체육 분야 지원도 획기적으로 확대한다.
이와 함께 지상 버스 법정 대수 충족, 무장애 정류장, 장애인 보호구역 확대로 장애인 이동권 보장에도 나선다.
시는 지역 장애인들의 숙원 사업인 복합 수련시설과 청각·언어 장애인 복지관 건립 등 복지 인프라도 단계적으로 구축한다고 덧붙였다.
이번 장애인 종합 복지계획에는 국정과제로 채택된 최중증 발달장애인 융합 돌봄 사업, 광주모델을 전국화한 ‘발달장애인 긴급돌봄 사업’, ‘장애인 활동 지원 24시간 서비스’도 포함됐다.
류미수 시 복지건강국장은 “형식적 장애인친화도시 선포에 그치지 않도록 실현 가능성에 중점을 둔 복지정책으로 확 달라진 변화를 만들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광주=장선욱 기자 swjang@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