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 강제징용 피해자에 대한 정부의 ‘제3자 변제’ 해법에 대해 우리 국민 10명 중 6명이 반대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10일 한국갤럽이 지난 8~9일 전국 만 18세 이상 국민 100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응답자의 59%는 정부의 제3자 변제 방안에 대해 ‘일본의 사과와 배상이 없어 반대한다’고 답했다. ‘한일 관계와 국익을 위해 찬성한다’는 응답은 35%였다. 나머지 6%는 답변을 유보했다.
정부가 발표한 제3자 변제 방안은 일본 가해 기업을 대신해 한국 정부 산하에 설치한 재단이 기금을 마련해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에게 배상한다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정부안에 대한 입장은 연령대별로 차이를 보였다. 50대 이하로는 모두 반대가 앞섰지만, 60대에서는 찬성 41% 반대 53%, 70대는 찬성 40% 반대 49% 등 찬성하는 목소리가 좀 더 많았다.
정치 성향 별로는 보수 지지층은 찬성 54% 반대 41%로 찬성이 13%포인트 정도 앞섰다. 반면 진보 측은 찬성 17%에 그친 반면 반대가 79%로 월등히 많았다.
한국 갤럽은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여권 지지층을 제외한 대부분 응답자에게서는 정부안에 대한 반대가 우세했다”면서 “제3자 변제 방안에 대한 찬성 응답은 윤석열 대통령 직무 긍정 평가자와 국민의힘 지지층에서 강한 편”이라고 설명했다.
만약 일본 가해 기업이 미래 세대에게 기부한다면 ‘배상으로 보겠다’는 응답은 27%에 그쳤다. ‘배상으로 볼 수 없다’는 응답은 64%였다. 50대 이하로는 ‘배상으로 볼 수 없다’는 의견이 70% 이상이었고 60대 이상으로는 다른 연령대보다 근소한 차이로 ‘배상으로 볼 수 없다’는 입장이 앞섰다.
향후 한일 관계의 방향에 대해서는 ‘우리가 일부 양보하더라도 가능한 한 빨리 개선해야 한다’는 의견이 31%, ‘일본의 태도 변화 없다면 서둘러 개선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이 64%로 일본의 태도 변화가 필요하다는 의견이 두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본 정부가 과거사를 반성하고 있다’고 보는지 묻는 문항에는 모든 세대와 정치 성향에서 ‘반성하지 않는다’는 응답이 우세해 전체 응답자 가운데 85%가 이 같은 의견을 드러냈다.
이번 조사는 오차범위 95% 신뢰수준에서 ±3.1% 포인트다. 무선(95%)·유선(5%) 전화 면접 방식으로 진행됐으며 응답률은 9.5%다.
김영은 인턴기자 onlinenews1@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