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동연 경기도지사가 “민생회복의 골든타임을 놓치지 말자”며 민생과 정치복원을 호소하고 나섰다.
김 지사는 9일 경기도청 브리핑룸에서 가진 기자회견을 통해 “민생이 벼랑 끝에 서 있다. 무엇보다 ‘민생복원’ ‘정치복원’이 시급하다”며 이를 위한 3가지를 제안했다.
김 지사는 검(檢)주국가, 권(權)치경제를 탈피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그는 “도대체 언제까지 검찰수사가 뉴스 1면을 장식하는 세상에 우리가 살아야 합니까”라고 반문하며 “경기도만 해도 민선8기 출범 이후 13차례의 압수수색을 받느라 민생을 위한 도정이 마비될 지경”이라고 토로했다.
김 지사는 “우리 사회에서 이른바 ‘정순신 사태’는 끝이 아니라 이제 시작에 불과하다”면서 “검사가 추천하고, 검사가 검증한 검찰 출신 인사가 경제를 포함한 정부 안팎의 요직에 물밀듯이 들어오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대통령은 이제 검사가 아닌 ‘대통령의 길’을 가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 지사는 경제정책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도 했다.
그는 “정부는 말로는 민간주도 경제를 표방하지만 경제, 산업, 기업활동에 대한 간섭은 늘어나고 있고, 사회안전망과 복지에 대한 정부역할은 크게 축소되고 있다”고 비판하며 “서민과 지역경제를 살리기 위해 지역화폐, 신용보강, 금융지원 등을 확대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지금은 건전재정이 아닌 적극재정이 필요할 때라며 “어려움을 겪는 가계와 기업을 위해, 그리고 앞으로 닥칠 더 큰 어려움에 대비하기 위해 재정이 적극적인 역할을 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또 김 지사는 일방적 국정운영, 사생결단식 여·야 관계를 청산해야 한다고 촉구하며 ‘국가민생경제회의’를 제안하고 나섰다.
그는 “어떤 경제정책도 정부나 여당이 일방적으로 밀어붙여서는 성공할 수 없다”고 전제하며 “어제 선출된 신임 여당 대표는 형식과 절차에 구애받지 말고 나서서, 대통령과 여·야 대표 사이에 대화의 장을 만들어가길 촉구한다”고 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사회적 타협을 위해서 여·야·정은 물론 기업, 노동, 지자체 등 모든 경제주체가 참여하는 국가민생경제회의를 제안하고 나선 것.
김 지사는 “대통령, 정부, 정치권, 각 경제주체가 함께 제대로 된 ‘대통령의 길’ ‘국민의 길’ ‘대화의 길’로 나설 때 민생복원과 정치복원은 가능하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더불어민주당에 대해서도 쓴소리를 했다.
그는 “민주당 소속 광역자치단체장으로서 민주당에 호소한다”면서 “1년 전 대선에 패배하고 정권을 빼앗긴 그때보다 지금이 더 위기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정부여당과는 정책으로 경쟁하고 민생위기, 경제위기를 극복하는데 당의 모든 역량을 집중해야 한다”면서 “원내 제1야당으로 협조할 것은 협조하고 잘못된 것은 비판하면서 정책 정당으로 우뚝 서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김 지사의 민생과 정치복원을 호소하는 기자회견은 야권의 잠재적 대권후보로서, 경제전문가로서 정부를 향해 민생을 위해서라면 언제든 목소리를 높이겠다는 것으로 읽혀진다.
이는 기자회견의 배경 질문에 김 지사가 “대선 후 1년, 그동안 안타까운 상황이 전개됐고 개선될 여지도 많지 않다. 마침 어제 여당 대표가 뽑혀서 고언을 위해 대선에 참여한 후보의 한 사람으로 이 자리에 섰다”는 말해서도 알 수 있다.
또 일부에서의 해석처럼 야권의 잠재적 대권주자로서 보폭을 넓히며 입지를 다지려는 의도도 있어 보인다.
수원=강희청 기자 kanghc@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