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이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위례·대장동 개발비리 의혹’ 보강 수사에 속도를 내고 있다. 지난 구속영장 청구서에서 빠진 428억 약정 의혹에 대한 수사 경과에 따라 구체적 처분 시점과 범위가 결정될 전망이다. 민주당에서 특검법을 발의한 ‘50억 클럽’ 의혹과 김건희 여사의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연루 의혹과 관련해서도 “수사 대상과 방식에 제한을 두지 않고 필요한 수사를 진행 중”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서울중앙지검은 이 대표에 대한 구속영장이 기각된 뒤 대장동 본류 사건의 보강 수사를 진행 중이다. ‘428억 약정 의혹’을 풀 열쇠를 쥐고 있는 김만배씨의 구속기한에 맞춰 이 대표 처분도 결정될 것이란 관측이 많았지만, 김씨는 유의미한 진술을 내놓지 않은 채 8일 구속 기소됐다. 법조계에선 428억 약정설 관련 수사와 이 대표에 대한 처분 시점에 변동이 불가피하게 됐다는 분석이 나왔다.
검찰 관계자는 이에 대해 9일 “필요한 수사를 진행 중이며 수사 결과에 따라서 처리 방식이나 범위 결정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428억 약정 의혹이 규명되지 않을 경우 이 대표의 배임 혐의 입증에 어려움이 생기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대해서도 검찰은 “배임 혐의의 경우 기존 구속영장 청구 시점에 설명했듯이 충분한 인적·물적 증거를 확보했다고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수사팀은 대장동 사업으로 발생한 개발이익의 사용처 추적도 진행 중이다. 검찰은 현재까지 대장동 일당의 개발이익 7886억원을 찾아내 이 중 2070억원을 추징보전했다. 검찰 관계자는 “나머지는 대부분 사업 관련 비용으로 사용한 것으로 확인됐다”며 “일부 용처가 불분명한 자금에 대해 추적 중이고, 그 과정에서 범죄수익은닉 혐의가 추가로 확인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치권에서 특검법이 발의된 50억 클럽·김건희 여사 의혹을 두고는 “수사하지 않는 것 아니냐는 말씀이 많은데, 필요한 부분을 수사하고 있다”고 검찰은 반박했다. 50억 클럽 의혹을 수사중인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부장검사 엄희준)에 최근 검사 2명이 충원된 것도 같은 맥락이라는 게 검찰 설명이다. 검찰은 수사 상황에 따라 50억 클럽 명단에 있는 당사자의 소환 조사도 가능하다고 보고 있다.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에 대해서도 검찰은 수사 대상과 방식에 제한을 두지 않겠다는 기존 원칙을 재확인했다. 수사팀은 주가조작 가담 혐의를 받는 관련자들을 참고인 신분으로 출석시켜 조사를 진행 중이다.
임주언 신지호 기자 eo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