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가 도내·외 제주학생이 겪는 학교폭력 문제에 적극 대응하기 위해 지역 차원의 유관기관 협업체계를 강화한다.
도는 9일 오후 제주도청에서 제1차 학교폭력대책지역위원회를 열어 유관기관 간 실질적인 협력 방안 등을 논의한다. 학폭대책지역위는 ‘제주도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지원에 관한 조례’에 따라 제주도와 도교육청, 도의회 교육의원, 경찰, 청소년 관련기관 현장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다.
지역위는 그간 학교폭력의 예방 및 대책에 관한 기본계획에 따른 학교폭력 예방대책을 수립하거나, 가·피해 청소년 상담·치료·교육기관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는 등의 한정적인 역할을 수행해왔다.
그러나 최근 국가수사본부장에서 낙마한 정순신 변호사 아들의 학교폭력 피해 학생이 제주 출신인 것으로 알려지면서 도민사회에서 우려가 커지자 도는 학폭대책지역위를 중심으로 지역 차원의 대응을 강화하기로 했다.
앞서 오영훈 제주지사는 지난달 실국장이 참석하는 도정 현안 공유 티타임에서 관련 문제를 직접 거론하며 대응 마련을 지시했다.
이날 회의에선 도교육청이 지난해 실시한 2022년 1차 학교폭력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하고, 올초 자체 수립한 2023학년도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 기본계획에 대해 설명한다.
지역위는 이를 토대로 유관기관 간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논의한다.
지역위는 도내뿐만 아니라 도외에서 제주학생들이 학교폭력의 피해를 입는 경우 이들에 대한 사후 지원 대책을 마련하기로 하고 관련 방안에 대한 각 기관의 의견을 수렴할 예정이다.
더불어 117학교폭력신고센터와 청소년상담전화1388의 운영 상황 전반에 대해 살피고, 위기에 처한 학생들이 도움을 요청할 수 있도록 학폭 대응 지원에 대해 홍보를 강화하는 방안도 의논한다.
향후 지역위를 효율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도 모색할 방침이다.
제주도 아동보육청소년과 관계자는 “학교폭력은 학생 개인이나 가족, 학교의 힘만으로는 대응할 수 없는 문제”라며 “학교폭력으로 피해 입는 학생이 없도록 제주지역 기관들이 대책을 만들어 시행하겠다”고 말했다.
제주=문정임 기자 moon1125@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