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 尹정부 징용해법·근로시간개편안 ‘맹폭’…내부는 ‘자중지란’

입력 2023-03-08 17:12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8일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더불어민주당은 8일 정부의 강제징용 피해배상 해법과 근로시간 제도개편안을 고리로 ‘외부의 적’ 윤석열정부를 맹폭했다. 하지만 이재명 대표 체제에 대한 비명(비이재명)계 등의 불만이 좀처럼 가라앉지 않아 당내 ‘자중지란’은 여전한 모습이다.

이 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정부의 강제징용 해법을 두고 “사실상 대일 항복 문서”라고 비난했다. 이 대표는 “강제동원(징용) 배상안은 일본 입장에서는 최대의 승리고, 대한민국 입장에서는 최악의 굴욕이자 수치”라며 “친일 매국 정권이라고 해도 할 말 없다”고 주장했다. 이어 “민주당은 윤석열 정권의 반역사·반인륜·반인권적인 야합과 굴종에 모든 수단을 동원해 맞서겠다”면서 국회 차원의 규탄 결의안 채택을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박홍근 원내대표는 “윤석열정부가 과로사회를 조장하겠다고 나섰다”며 “(지난 대선 때) 실언인 줄 알았던 윤 대통령의 ‘주 120시간 노동’이 정부 출범 1년도 되지 않아 현실이 됐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주당 52시간인 노동시간이 최대 80.5시간까지 늘어난다고 한다. 연장근로 관리단위를 분기로 늘리면 ‘과로사 수준’까지 장시간 노동을 강제할 수 있다”며 “일방통행과 독단으로 국민의 삶을 후퇴시키는 정책 입법에는 결코 동의할 수 없다”고 강조했다.

당 지도부는 이 같이 대정부 공세에 주력하고 있지만, 당내 일부 의원들 사이에선 이 대표를 비판하는 목소리가 터져 나왔다. 비명계 의원 모임인 ‘민주당의 길’ 소속 10여명은 7일 만찬을 함께하면서 다음 주에 ‘대선 후 1년의 대한민국, 민주당의 모습과 나아갈 길’을 주제로 모임을 재개하기로 했다. 이 대표 체제의 문제점에 대해서도 필요할 경우 공개적으로 목소리를 내겠다는 취지다.

만찬에 참석한 한 의원은 “당대표직을 내려놓는 등 이 대표 본인이 당과 개인 리스크를 분리하는 방법을 찾아봐야 한다는 의견, 다시 체포동의안이 오면 이 대표가 직접 영장실질심사를 받아야 할지 의사를 밝혀야 한다는 의견이 나왔다”면서 “이런 사안에 대한 입장을 밝히지도 않으면서 단결만 외치는 건 ‘너희들 좀 조용히 있으라’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당내 최대 의원 모임인 ‘더좋은미래’도 8일 입장문을 내고 “이 대표는 현 상황에 대해 무거운 책임감을 느끼고 당의 불신 해소와 혁신을 위해 적극적으로 나서 줄 것을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에 대해 이 대표 측은 소통하겠다는 말만 반복했다. 이 대표 측 핵심 관계자는 “지금은 정공법이 필요하다”면서 “한번에 뭔가를 바꾸려는 이벤트성 기획은 역효과를 낼 수 있다. 끊임없이 소통하며 당의 미래와 총선 승리에 대한 의견을 나눌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동환 기자 hu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