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포항시는 올해 일자리, 주거·교육, 복지·문화, 소통·참여 등 4대 분야에 대한 청년정책 실행계획을 추진한다고 8일 밝혔다.
이를 위해 시는 청년 맞춤형 예산 142억원을 확보하고 관련 정책 발굴과 일자리 연계를 통한 자립 기틀 마련 등에 나서고 있다. 지난 1월에는 조직을 개편하고 청년정책 전담부서인 일자리청년과를 신설했다.
우선 청년들의 안정적인 일자리 지원을 위해 32개 사업에 74억5000만원을, 주거·교육을 위해 10개 사업에 40억원을 투입한다. 청년들의 복지·문화를 위해 7개 사업 27억원, 소통·참여 분야를 넓히기 위해 5개 사업에 5000만원을 편성했다.
시는 원활한 사업 추진을 위해 청년의 능동적인 정책 참여가 가능한 청년참여 거버넌스 환경을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포항시 청년정책조정위원회를 주축으로 지역 내 청년단체, 지역대학, 청년정책 전문가 등 다양한 청년 네트워크를 구축할 계획이다. 또 청년 정책추진을 위한 지원법령 제·개정 등 법적·제도적 기반을 강화하기로 했다.
시는 청년정책의 실효성을 높이고 청년정책 포럼, 청년정책 간담회 등을 개최해 청년 수요 맞춤형 정책 수립·추진에 중점을 둘 예정이다.
미래 신산업 및 이차전지·바이오·수소 등 지역 특화 분야 청년 일자리 발굴과 관·산·학 협업을 통한 청년 일자리 창출, 청년 스타트업 생태계 조성 등도 추진한다.
이와 함께 청년이 희망하는 문화환경 조성 및 청년 주거 안정, 청년의 지역안착 및 타지역 청년 유입을 통해 젊은 도시를 조성하는 데 전력을 다할 방침이다.
시는 포항형 청년 일자리 지원, 청년 스타트업 지원, 청년창업LAB․청년창업플랫폼 운영 등으로 청년 고용률이 2022년 하반기 기준 전년 동기 대비 3.8% 증가하는 등 성과를 거뒀다.
이강덕 포항시장은 “청년들을 위해 청년이 공감하고 만족하는 청년주도 정책을 지속 발굴하고 청년들이 꿈꾸는 미래를 포항에서 실현해 나갈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을 아끼지 않겠다”라고 말했다.
포항=안창한 기자 changhan@kmib.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