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도는 인구감소지역인 남원과 정읍에 공공산후조리원을 2026년까지 각각 건립한다고 8일 밝혔다.
이는 산후조리원이 없는 시·군에 산모‧신생아 돌봄서비스를 제공하고 산후조리 친화적 환경을 조성하기 위함이다.
공공산후조리원에는 임산부실(10실), 영유아실, 급식시설, 편의시설 등이 들어설 예정이다. 이 사업에는 1곳당 70억원 정도가 투입된다.
앞서 도는 인구감소지역 10개 시‧군을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실시, 남원시와 정읍시로 부터 설립계획 의향서를 받았다.
들어가는 재원은 지방소멸대응기금을 활용할 계획이다. 도와 시에서 시설비 50%씩을 부담한다.
전북도는 올해 우선적으로 동부권 남원과 서부권 정읍에 건립을 추진하고 향후 운영성과와 수요여건 등을 평가해 추가 건립과 효율적인 지원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향후 권역별로 공공산후조리원이 건립되면 지역민들의 원정 산후조리가 줄고 산모‧신생아 돌봄에도 기여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송희 전북도 복지여성보건국장은 “임산부는 분만 후 산후조리를 해야 하는 특수성이 있어 관련 지원 환경이 절실한 상황이다”며 “산모‧신생아 산후돌봄 사각지대를 해소할 수 있도록 공공산후조리원 건립 사업을 차질 없이 추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전주=김용권 기자 ygkim@kmib.co.kr